구리시와 남양주시가 '에코 커뮤니티' 사업을 중단한 지 4년만에 재추진한다.
5일 구리시와 남양주시에 따르면 이 사업은 구리 자원회수시설 옆에 하루 100t 처리 규모의 소각로 1기를 증설하는 사업으로 민간투자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번 사업은 환경부의 중재로 두 지자체는 올 초부터 실무 협의를 진행, 최근 에코 커뮤니티 사업을 재추진하는 데 합의했다.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이달중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구리 자원회수시설은 하루 200t 처리 규모로 토평동에 건설돼 2001년 말부터 운영 중이며, 이곳에서 구리·남양주지역에서 발생한 생활 쓰레기를 소각한 뒤 잔재물은 남양주시 청학리 에코랜드에 매립하고 있다.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2013년 자원회수시설 용량을 늘리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으나 2017년 당시 구리시장의 반대로 중단됐다.
2018년 6월 지방선거로 구리시장과 남양주시장이 바뀌었고, 구리시는 기존 자원회수시설 증설 계획에 더해 보수·이전 방안까지 검토했다. 그러나 이미 남양주시는 단독으로 자체 시설을 계획했고 이 과정에서 협약 유효 여부, 사업 중단 책임 등을 놓고 구리시와 갈등을 빚었다.
구리·남양주시는 택지개발 등으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쓰레기 배출량이 늘었고 이에 자원회수시설 증설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2026년부터 수도권 매립지를 이용할 수 없게 됐고 소각시설 증설 필요성이 대두 되면서 환경부 중재로 두 지자체는 관련협의를 진행해 왔다.
5일 구리시와 남양주시에 따르면 이 사업은 구리 자원회수시설 옆에 하루 100t 처리 규모의 소각로 1기를 증설하는 사업으로 민간투자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번 사업은 환경부의 중재로 두 지자체는 올 초부터 실무 협의를 진행, 최근 에코 커뮤니티 사업을 재추진하는 데 합의했다.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이달중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구리 자원회수시설은 하루 200t 처리 규모로 토평동에 건설돼 2001년 말부터 운영 중이며, 이곳에서 구리·남양주지역에서 발생한 생활 쓰레기를 소각한 뒤 잔재물은 남양주시 청학리 에코랜드에 매립하고 있다.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2013년 자원회수시설 용량을 늘리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으나 2017년 당시 구리시장의 반대로 중단됐다.
2018년 6월 지방선거로 구리시장과 남양주시장이 바뀌었고, 구리시는 기존 자원회수시설 증설 계획에 더해 보수·이전 방안까지 검토했다. 그러나 이미 남양주시는 단독으로 자체 시설을 계획했고 이 과정에서 협약 유효 여부, 사업 중단 책임 등을 놓고 구리시와 갈등을 빚었다.
구리·남양주시는 택지개발 등으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쓰레기 배출량이 늘었고 이에 자원회수시설 증설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2026년부터 수도권 매립지를 이용할 수 없게 됐고 소각시설 증설 필요성이 대두 되면서 환경부 중재로 두 지자체는 관련협의를 진행해 왔다.
구리·남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