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의미 日 '오타쿠'서 파생
나름 좋은 스트레스 해소될 수도

박서하
고양 정발중 박서하
나도 칼럼니스트이긴 하지만 한 아이돌을 '덕질'하는 팬이기도 하다. 덕질이라는 것은 무엇이고 덕질이라는 말의 유래는 무엇일까? 우려하는 만큼 덕질을 한다는 것이 과연 나쁘기만 한 일일까?

덕질은 좋아하는 분야를 파고드는 행위를 지칭하는 말로, 일본어인 오타쿠→오덕후→오덕(덕후)→덕으로 변해온 것이다. 그리고 덕이라는 말에 '무언가를 하다'는 뜻의 말을 낮추어 말하는 '질'을 합성해서 '덕질' 이 되었다.

1970년대부터 집안에만 틀어박혀서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심취한 사람들을 오타쿠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1980년대부터는 오타쿠가 일본 애니메이션, 만화, 아이돌 가수에 빠져 자기 세계에 갇힌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고 한다.

이 말이 한국에 들어온 것은 2000년대 초반으로, 처음에는 열렬한 팬이라는 뜻을 지닌 영어 '마니아'와 일본어 오타쿠를 분리하여 사용했다. 그리고 현재에는 오타쿠라는 말 대신 거기서 파생된 덕, 덕질, 덕후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청소년이 덕질을 하는 것이 과연 나쁘기만 한 것일까? 10대에서 30대까지는 덕질을 해본 세대가 많기 때문에 덕질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많다. 지난 2019년 한 통계에 따르면 96%가 덕질을 해봤으며, 77%가 덕질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는 결과가 나왔으니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부모님 세대는 그렇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걔네가 너 밥 먹여주냐', '이렇게 좋아해도 걔는 너 모른다', '걔가 뭐가 좋다고 걜 좋아하냐' 등의 말은 덕질을 하는 대부분이 들어봤고, 또한 가장 듣기 싫어하는 말일 것이다.

덕질은 무조건 막아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로는 덕질로 인해 스트레스 해소가 되고, 덕질로 인해 느끼는 행복이 크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연예인이나 캐릭터의 사진만 봐도 웃음이 절로 나오고, 가수를 좋아하는 경우 그 가수의 노래를, 배우나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좋아하는 경우 배우가 출연한 작품이나 애니메이션 OST를 들으면서 위로가 되거나, 절로 신나거나, 듣기만 해도 설레는 느낌을 받을 때도 있다.

'어덕행덕'(어차피 덕질할 거 행복하게 덕질하자)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덕질을 통해 행복감을 만끽하는 게 추세가 됐다. 덕질에 일상을 방해받거나 학업에 지나치게 지장을 받지만 않는다면, 덕질은 나름 좋은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고양 정발중 박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