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리적 위치 안좋은 결과도
일산대교 불공정 교통망 사례 꼽혀
많게는 11배 높은 요금 '주민 원성'
안산시 등 해수욕장 법적 지정 노력
수질검사 기준 높아 예산 지원 필요
경기도는 참 재미있는 땅입니다. 세련된 풍경이 즐비한 도시와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농촌이 어우러진 땅이면서 서쪽에는 서해바다를 끼고 있어 어촌과 항만이 발달한 땅이기도 합니다. 또 수도 서울을 동서남북으로 둘러싸고 있어 서울과 함께 대한민국의 발전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도의 지리적 위치가 꼭 좋은 결과만 안겨준 것은 아닙니다. 경기도라는 이유로 도민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혜택을 누리지 못하거나, 가지고 있는 좋은 자원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지난주 경인일보가 보도한 '돈을 내고 한강을 건너는 경기도민(7월19일자 1면 보도=[경인 WIDE] 우리는 왜… 돈을 내고 한강을 건너나)'의 이야기와 '서해바다를 품고도 해수욕장이 없는 경기도(7월19일자 1면 보도=260㎞ 해변 품은 경기도 '지정 해수욕장' 한 곳도 없다)'의 이야기가 바로 그런 예입니다.
고양, 김포, 파주 등 경기도 서북권 주민들은 한강 다리 중 하나인 일산대교를 건너 출퇴근합니다. 일산대교의 길이는 '1.84㎞'. 하지만 2㎞도 채 되지 않는 다리를 건너고자 이들 지역 주민들은 통행요금을 내야 합니다.
만약 이 다리를 올라타지 않는다면, 8㎞ 떨어진 김포대교로 우회해야 하는데, 출퇴근 시간 김포대교 부근의 교통체증을 생각하면 30분 이상 차이가 납니다. 출퇴근 시간의 30분은 그야말로 금쪽같은 시간인데 말입니다.
일산대교 통행료는 건설될 때부터 불공정한 교통망 사례로 손꼽혔습니다.
수익형 민자사업(BTO)인 일산대교는 2038년까지 민간건설사를 포함한 컨소시엄이 건설 후 운영하며 이익금을 거둔 다음 공공에 기부하는 형태로 지어졌습니다. 당연히 건설비와 운영비를 투자한 민간기업들은 정해진 기간 내 이익금을 회수하고자 통행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행료를 부과하는 다른 지역의 도로보다도 많게는 11배 높은 금액을 요금으로 받는 통에 주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습니다. 이들 지역 지자체들과 지역 정치권도 일산대교 통행료를 풀기 위해 오랫동안 고민해왔습니다. 어디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교통권은 누구나 누려야 하는 권리이기 때문입니다.
경기 서북권 주민들이 생계를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값비싼 통행료를 지불해야 하는 억울한 사정과 함께 아름다운 서해바다를 가지고도 활용하지 못하는 경기도 이야기 역시 깊은 아쉬움을 남깁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대한민국의 서쪽, 이 중에서도 경기도는 260㎞ 길이의 서해바다 해변을 품고 있습니다.
30분에서 1시간만 이동하면 푸른 바다의 풍광을 보고 갯벌체험도 하면서 맛있는 해산물도 값싸게 즐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도의 해변에는 해수욕장이 한 곳도 없습니다. 입소문을 통해 알고 찾아온 관광객들이 해변가에서 해수욕을 즐기고는 있지만, 국가에서 지정한 해수욕장은 아닙니다. 사람들이 찾아오니, 편의상 해수욕장으로 불릴 뿐 법에선 인정받지 못한 것이죠. 바다를 가진 광역자치 단체 중에선 유일하게 지정해수욕장을 갖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산 방아머리 해변을 가진 안산시 등 여러 기초지자체들이 해수욕장에 지정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멀리 나갈 수 없는 코로나19 시대로 인해 경기도 해변을 찾는 수도권 주민들이 많아진 만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쉽지는 않습니다. 내륙에 가까운 바다인데다 갯벌도 많고 탁도가 높아 수질검사 기준을 통과하기가 여간 까다로운 것이 아닙니다. 이를 개선하려면 풍부한 예산 지원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서울, 혹은 대한민국 전체의 시각에서 본다면 두 기사는 대수롭지 않은 일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도와 인천 지역의 뉴스를 다루는 경인일보가 바라보는 두 문제는 여러분과 같은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과 깊이 연결돼 있기 때문에 몹시 중요한 뉴스 가치를 지녔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지역신문의 사명이자, 역할이지요.
여러분도 경기도민, 인천시민의 시각에서 우리 지역의 뉴스를 바라보고 함께 고민하며 해결점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지길 바랍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