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정목 교수 "지자체 책무" 제언
입지 선정부터 주민 참여 강조도
김정대 교수, 관광산업 타격 지적
가평군 장사시설 건립 관련 토론회 금지 가처분 신청 등 부침을 겪던 군민 토론회가 우여곡절 끝에 29일 열렸다.
지난 27일 의정부지법에서 토론회 개최 반대 측인 구리·남양주·포천을 위한 공동화장장 반대대책위(위원장·정연수, 이하 반대위)가 낸 토론회 금지 가처분 신청을 각하(7월27일 인터넷 보도=법원 '가평군 장사시설 건립 관련 토론회' 금지 가처분 신청 각하)함으로써 군은 예정대로 이날 '가평군 장사시설 합리적 방향을 위한 미래발전 군민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단독형, 공동형 장사시설 및 규모, 예산, 인센티브 등에 대한 열띤 논의를 벌였다.
신산철 늘푸른장사 문화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최정목(대전보건대) 교수는 "우리나라 장례문화는 가정에서 장례식장으로, 매장에서 화장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지역별 화장시설 부족 및 시설 노후화로 경기북부는 지리적 환경 등을 고려할 경우 이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장사시설은 지자체에 의무적으로 설치돼야 하는 필수시설(장사법 제4조 국가와 지자체 책무)"이라며 "가평지역 특성에 맞고 주변 지역과의 조화를 통해 자연 친화적인 장사시설로 조성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토론자로 나선 지병록 가평군 복지정책과장은 "가평군은 2008년 화장률(52%)이 매장률을 앞질렀으며 매년 3~4%씩 증가, 2018년 기준 경기도 화장률 90.2%, 가평군 화장률 89.4%에 달하며 2035년 가평군 화장률이 94.5%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장사시설의 입지선정 이전 시설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 형성을 위해 입지선정단계부터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순석 복술복금동주민협의체 대표, 임광현 지역 활동가, 오호석 한국 직능인총연합회 총회장, 이항원 전 경기도의회 북부의원협의회장 등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좌장을 맡은 김정대(한림성심대) 교수는 관광산업 큰 타격, 생활환경 피해, 지역발전 및 개발 저해 등의 주요 반대사유와 장례비 지원, 가평군민만을 위한 단독형 종합장사시설 설치, 단독형 설치 시 가평의 주산업인 관광, 레저, 교통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 등의 반대위측 종합 의견도 빼놓지 않았다.

한편 이날 반대위 측은 토론회에 참석하지 않은 채 토론장 밖에서 토론회 개최 부당함을 알리는 플래카드를 게첨하는 등 반대 퍼포먼스를 펼쳤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