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18일 예정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코로나 19 확진, 예방접종 관계없이 모든 수험생이 응시할 수 있다.
또한, 대학별 평가에서 확진 학생도 응시 기회를 제공하도록 각 대학에 권고된다.
교육부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2022학년도 대입 관리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수능과 마찬가지로 자가격리자와 확진자도 시험을 치를 수 있다. 지난해 수능 응시생 42만명 중 자가격리 수험생은 456명, 확진 수험생은 41명이었다.
수능 시험실은 일반, 자가격리, 확진 수험생으로 분류한다. 일반 수험생은 사전에 고지된 일반시험장, 격리 수험생은 별도로 마련된 시험장, 확진 수험생은 사전에 지정된 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에서 수능을 본다.
일반 시험실의 한 교실 당 수험생은 최대 24명으로 제한되며, 지난해와 달리 이번 수능 때는 점심시간에만 3면 칸막이를 설치한다. 칸막이는 두꺼운 종이 재질로 학생들이 직접 설치한다.
모든 수험생은 수능 당일 반드시 마스크를 써야 하고, 당일 증상이 있는 경우 각 고사장 내 별도 시험실에서 시험을 치러야 한다.
교육부는 방역 물품 구비·소독 등 세부 방역 지침을 다음 달 중 시도교육청에 안내할 예정이다.
고3 학생의 1차 백신 예방접종은 마무리됐고, 오는 20일까지 2차 접종이 이뤄진다. 졸업생 등 수험생의 1차 접종은 오는 10일부터 다음 달 11일까지 2차 접종을 마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10월 중으로 각 시·도 교육청과 협력해 고사장 마련 등 응시환경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수능 3주 전인 10월 말부터는 질병관리청 등과 상황반을 운영하면서 격리, 확진 수험생 상황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대학별 평가에서도 각 대학의 여건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모든 응시자에 응시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대학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또 각 대학은 평가 실시 전 방역관리 계획을 수립해 소독·방역 물품 등을 준비하고 응사자 유형에 따라 일반고사장과 유증상자를 위한 별도 고사장, 격리자 고사장을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아울러 교육부는 대학별 평가 운영 지원을 위해 질병관리청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함께 대학별 평가 상황반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대학별 평가에서 확진 학생도 응시 기회를 제공하도록 각 대학에 권고된다.
교육부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2022학년도 대입 관리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수능과 마찬가지로 자가격리자와 확진자도 시험을 치를 수 있다. 지난해 수능 응시생 42만명 중 자가격리 수험생은 456명, 확진 수험생은 41명이었다.
수능 시험실은 일반, 자가격리, 확진 수험생으로 분류한다. 일반 수험생은 사전에 고지된 일반시험장, 격리 수험생은 별도로 마련된 시험장, 확진 수험생은 사전에 지정된 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에서 수능을 본다.
일반 시험실의 한 교실 당 수험생은 최대 24명으로 제한되며, 지난해와 달리 이번 수능 때는 점심시간에만 3면 칸막이를 설치한다. 칸막이는 두꺼운 종이 재질로 학생들이 직접 설치한다.
모든 수험생은 수능 당일 반드시 마스크를 써야 하고, 당일 증상이 있는 경우 각 고사장 내 별도 시험실에서 시험을 치러야 한다.
교육부는 방역 물품 구비·소독 등 세부 방역 지침을 다음 달 중 시도교육청에 안내할 예정이다.
고3 학생의 1차 백신 예방접종은 마무리됐고, 오는 20일까지 2차 접종이 이뤄진다. 졸업생 등 수험생의 1차 접종은 오는 10일부터 다음 달 11일까지 2차 접종을 마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10월 중으로 각 시·도 교육청과 협력해 고사장 마련 등 응시환경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수능 3주 전인 10월 말부터는 질병관리청 등과 상황반을 운영하면서 격리, 확진 수험생 상황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대학별 평가에서도 각 대학의 여건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모든 응시자에 응시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대학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또 각 대학은 평가 실시 전 방역관리 계획을 수립해 소독·방역 물품 등을 준비하고 응사자 유형에 따라 일반고사장과 유증상자를 위한 별도 고사장, 격리자 고사장을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아울러 교육부는 대학별 평가 운영 지원을 위해 질병관리청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함께 대학별 평가 상황반을 운영하고 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