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0801000270400013681.jpg
지난 7일 가평군 가평읍 군도 도로변의 한 안전지대에 주차돼 있던 차량이 규제봉을 훼손하며 후진으로 도로로 진입하고 있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

보행자, 도로 이용 차량 등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가평의 한 도로변 안전지대가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이들 불법 주정차 차량 등으로 인해 교통체증이 발생하고 교통사고 위험에도 노출돼 대책이 시급하다. 이곳은 90도 이상 굽은 도로로 가평군은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이 일대 일부를 주정차금지구역으로 지정하고 주차 방지 차선 규제봉과 주정차 금지 노면 표시 등 안전지대 시설물을 설치했다.

지난 7일 가평읍 군도 14호선 한 도로변의 안전지대.

이곳은 주정차 금지를 알리는 차선규제봉과 노면 표시가 돼 있는 안전지대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빼곡히 주차돼 있었다. 이들 차량 다수는 주변 물놀이 시설 등을 찾은 방문객 등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구역 상당수의 규제봉은 진입 차량 등으로 인해 훼손된 채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주정차 금지구역은 무색해 진지 오래라는 것이 다수 주민들의 전언이다.

이에 군은 최근 이곳에 불법 주정차 단속 안내 현수막을 내걸고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불법 주정차 차량은 여전하다.

2021080801000270400013682.jpg
지난 7일 가평군 가평읍 군도 도로변의 한 안전지대에 군의 갓길, 안전지대 불법 주정차 단속 안내 플래카드가 내걸렸지만 이를 비웃기나 한듯 여전히 불법 차량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

이 도로는 구 46번 국도로 서울(가평)과 강원 춘천을 잇는 이른바 경춘가도로도 불리는 등 현재도 차량 통행이 빈번하고 휴가철이나 공휴일은 교통량이 증가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이 일대 도로변의 불법 주정차 차량 문제는 수년째 개선되지 않아 도로 이용객 등은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이 도로는 갓길이 없는 왕복 2차선 도로로 이들 불법 주차 차량 등과 도로 주행 차량 간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주민 A(50)씨는 "이 도로는 북한강을 낀 드라이브 코스로 각광을 받아온 추억의 도로로 지금도 이용률이 높은 편"이라며 "하지만 이 일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으로 늘 교통사고가 우려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히 군에서 불법 주정차 단속을 알리는 현수막을 내걸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시정되지 않고 있다"며 "어찌 보면 무법천지나 다름없다. 이런 사태 발생에 대해 군과 관련 시설 등은 각성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주민 B(51)씨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겨울철을 제외한 1년 내내 벌어지고 있는 행태이며 특히 방문객 등이 많은 여름철과 휴일, 주말 등 공휴일에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며 "군 등 관련 관리감독기관이 나서 문제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사후약방문식은 절대 안 된다"고 꼬집었다.

군 관계자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설치한 도로 안전지대 시설은 단속 이전에 우리가 지켜야 할 준법 사항"이라며 "앞으로 안전지대 기능과 도로 안전 유지를 위해 지속해서 지도·단속 활동 등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