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사진은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2020.4.20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인천연구원이 코로나19 확산으로 무너진 인천국제공항 경제권의 일자리를 복원하기 위한 사회적 대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인천공항경제권 일자리 복원 대책으로는 '지역특화형 긴급직업훈련' '공동근로복지기금' '상생형 지역일자리' 등 세 가지 제도를 제시했다.


인천연구원이 12일 공개한 이슈브리프 '코로나19에 따른 산업·노동 위기 대응 Ⅲ: 인천공항 일자리의 건전한 복원'을 보면, 지난해 한 해 동안 인천공항 관련 전체 일자리 중 유급휴직·무급휴직·퇴직 등 고용악화율은 40.6%로 추정됐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이 인천국제공항공사 내부 자료를 분석했더니 인천공항 관련 일자리 종사자 수는 2019년 8만2천551명에서 지난해 6만7천239명으로 줄었다.

연구진은 기내식과 급유 등 지상조업, 면세점 등 상업시설, 호텔·관광 부문에서 심각한 일자리 감소 현상이 나타났고, 물류업과 공공 부문은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효과가 없었다고 분석했다. 

 

인천연구원 '지역특화 긴급직훈·공동근로복지기금·상생형 지역 일자리'
해고 차단·산업구조 협력 등 적합… 정부·지자체·노사 사회적협약 필수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인천 지역의 항공·공항 관련 기업들이 코로나19 사태로 심각한 매출 감소를 겪고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 때문에 앞으로 항공여객 수요가 회복되더라도 장기간의 재무적 손실이 발생한 상황에서 사업이 정상화하고 일자리가 복원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관련 산업의 경기 회복기까지 일자리를 복원할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인천연구원 주장이다.

인천연구원은 유급휴직·직업훈련으로 고용 유지를 협약하는 기업을 재정적으로 지원해 추가적인 무급휴직이나 해고를 막는 '지역특화형 긴급직업훈련'과 2개 이상 기업이 공동으로 근로복지기금을 조성해 중소기업·협력업체 노동자의 복지를 확보하는 '공동근로복지기금'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용노동부의 지역특화형 긴급직업훈련 제도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경상남도가 항공산업과 조선업을 대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인천시와 중구 의지에 따라 인천공항 경제권에도 도입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연구진 설명이다.

또 인천공항은 공항시설구역으로 지리적 경계가 뚜렷하고, 대형 항공사와 인천공항공사를 중심으로 '가치사슬' 형태의 협력업체와 보완재 산업이 몰려 있어 공동근로복지기금 도입에 적합한 산업 구조라는 게 연구진 분석이다. 인천연구원은 정부가 2019년 '광주형 일자리(완성차 공장) 투자협약'을 통해 추진한 '상생형 지역일자리'도 인천공항 경제권이 도입할 수 있는 대책으로 제시했다.

이들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선 정부와 지자체뿐 아니라 사업주와 노동자, 대기업과 중소기업·협력업체 등의 사회적 협약이 필수적이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건전한 일자리 회복을 위한 지역 주체 간의 소통과 협업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사회적 대화가 수반돼야 한다"며 "지방정부가 지역 주체들 간 소통과 협력에 대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게 중요하고, 인천시 일자리위원회 또는 인천시 노사민정협의회가 사회적 대화 기구로 그 범위와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