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호 태풍 오마이스가 23일 오후 제주도를 통과해 남해안으로 상륙한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올해 첫 상륙 태풍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올해 태풍은 총 11개 발생했는데, 이중 9호 태풍 루핏만 우리나라 동해안에 간접 영향을 줬다.
지난해 태풍 장미와 마이삭이 8월에 우리나라로 상륙한 데 비하면 올해는 태풍 영향이 적은 셈이다.
22일 오전 9시 기준 태풍 오마이스는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50㎞ 인근 해상에서 시속 21㎞로 북북서진 중이다. 중심기압은 998hPa, 강풍반경은 160㎞다.
기상청은 이날 수시예보브리핑에서 "23일 밤 남해안 부근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며 "상륙 시간대를 중심으로 최대순간풍속 시속 100㎞ 이상의 강풍과 5m 이상의 높은 물결이 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태풍은 23일 오전부터 제주도 먼바다를 시작으로 점차 북상한다. 이후 밤시간에 접어들며 서서히 중부지역에도 영향을 주겠다.
기상청은 "소멸하고 열대저압부가 될 가능성이 높았지만, 해양의 수온이 높고 태풍의 크기가 작아 태풍이 유지되기 좋은 조건이 만들어졌다"며 "태풍이 동쪽으로 치우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은 23~24일 간 태풍의 영향을 받겠다.
특히 정체전선과 이를 통과하는 저기압까지 더해지면서 시간당 50~70㎜에 가까운 비를 뿌리는 곳도 있다.
수도권은 24일 본격 영향을 받는다. 예상 강수량은 50~150㎜,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많은 곳은 200㎜ 이상이다.
26일 이후에도 비는 계속된다. 남쪽엔 고기압이, 북쪽엔 저기압이 위치한 기압계로 인해 정체전선이 유지한다. 8월 말, 늦으면 9월 초까지 주기적으로 비가 내리겠다.
기상청은 "태풍의 중심기압이 약한 축에 속하지만, 수증기가 많아 많은 비가 예상된다"며 "충청·전라도 위주로 내리겠지만, 정체전선 위치나 저기압 위치 등에 따라 강수 변동이 있겠다"고 부연했다.
올해 태풍은 총 11개 발생했는데, 이중 9호 태풍 루핏만 우리나라 동해안에 간접 영향을 줬다.
지난해 태풍 장미와 마이삭이 8월에 우리나라로 상륙한 데 비하면 올해는 태풍 영향이 적은 셈이다.
22일 오전 9시 기준 태풍 오마이스는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50㎞ 인근 해상에서 시속 21㎞로 북북서진 중이다. 중심기압은 998hPa, 강풍반경은 160㎞다.
기상청은 이날 수시예보브리핑에서 "23일 밤 남해안 부근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며 "상륙 시간대를 중심으로 최대순간풍속 시속 100㎞ 이상의 강풍과 5m 이상의 높은 물결이 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태풍은 23일 오전부터 제주도 먼바다를 시작으로 점차 북상한다. 이후 밤시간에 접어들며 서서히 중부지역에도 영향을 주겠다.
기상청은 "소멸하고 열대저압부가 될 가능성이 높았지만, 해양의 수온이 높고 태풍의 크기가 작아 태풍이 유지되기 좋은 조건이 만들어졌다"며 "태풍이 동쪽으로 치우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은 23~24일 간 태풍의 영향을 받겠다.
특히 정체전선과 이를 통과하는 저기압까지 더해지면서 시간당 50~70㎜에 가까운 비를 뿌리는 곳도 있다.
수도권은 24일 본격 영향을 받는다. 예상 강수량은 50~150㎜,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많은 곳은 200㎜ 이상이다.
26일 이후에도 비는 계속된다. 남쪽엔 고기압이, 북쪽엔 저기압이 위치한 기압계로 인해 정체전선이 유지한다. 8월 말, 늦으면 9월 초까지 주기적으로 비가 내리겠다.
기상청은 "태풍의 중심기압이 약한 축에 속하지만, 수증기가 많아 많은 비가 예상된다"며 "충청·전라도 위주로 내리겠지만, 정체전선 위치나 저기압 위치 등에 따라 강수 변동이 있겠다"고 부연했다.
/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