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3차 신규 공공 택지 발표
국토교통부는 2·4 부동산 대책 후속 조치로 인천을 포함한 총 14만가구의 입지를 확정해 30일 발표했다. 인천은 남동구 구월동·남촌동·수산동, 연수구 선학동, 미추홀구 관교동·문학동 일대 그린벨트 220만㎡ 부지에 1만8천가구가 공급된다. 사진은 이날 수산동 인근에서 바라본 신규 공공택지 대상지 일대. 2021.8.30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정부가 인천시청 등이 위치한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일원에 1만8천가구 규모의 미니 신도시급 신규 택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공급 규모로만 따지면 3기 신도시인 계양테크노밸리(1만7천가구)보다 많은 물량으로, 인천 부동산 시장에 지각 변동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는 30일 2·4 부동산 대책 후속 조치로 '인천 구월2 신규택지' 조성 계획을 포함한 총 14만가구 입지를 확정해 발표했다.

3기 계양TV보다 공급 물량 많아
기반시설 좋고 개발 수요 높은 곳
호구포로 확장·남동나들목 개선


우선 인천 남동구 구월동·남촌동·수산동을 비롯해 연수구 선학동, 미추홀구 관교동·문학동 일대 그린벨트 220만㎡ 부지에 1만8천가구가 공급된다. 

 

국토부는 구월동 택지개발 예정 지역의 경우 인천 중심 시가지와 인접해 기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좋고 개발 수요가 높은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인천지하철 1호선(문학경기장역)을 비롯해 신도시 반경 3㎞ 이내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노선이 통과하는 인천시청역이 있어 교통 여건도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국토부는 구월동 일대 대규모 택지 개발에 따른 추가 교통대책으로 남동대로·호구포로·매소홀로를 확장하고 단절된 도로 구간을 신설하는 한편 남동나들목 개선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신규 택지 배후에 창업 지원을 위한 '청년주택'을 배치해 일자리 창출 등 자족성을 높이기로 했다.

배후에 청년주택 배치 자족성 ↑
당분간 지역 부동산 시장 회오리


인천시는 이번 정부 발표에 따라 iH(인천도시공사)를 주축으로 신도시 건설을 위한 지구 지정 등 후속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기로 했다.

투기성 토지 거래 등을 차단하기 위해 내달까지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개발 부지 일원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날 정부 발표에 우려를 나타내는 목소리도 크다. 인천 도심의 마지막 그린벨트라 불리는 구월동·남촌동·수산동 일대 녹지가 이번 계획으로 모두 사라지게 돼 환경단체의 반발이 거셀 전망이다.

특히 지금까지 인천의 신규 택지 입지는 서울과 가까운 서구와 계양구 등 도심 외곽 지역에 분포했지만 이번에 발표된 대규모 택지는 인천 도심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어 구도심 공동화가 가속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이날 인천 구월2 신규 택지를 포함해 경기 의왕·군포·안산(4만1천가구), 화성 진안(2만9천가구), 화성 봉담(1만7천가구) 등 모두 10곳에 14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 관련기사 4(인구 증가·경제 성장 탄력… 화성 '큰웃음' 의왕·군포·안산 '미소')·6면(구월2 신규택지 '100% 그린벨트'… '도심지 허파' 해제에 반대한다)·위치도 참조

01_11.jpg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