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선.jpg
심재선 인천상공회의소 회장
인천은 복수의 제조업 중심 국가산업단지와 여객 및 물류 허브인 공항과 항만, 경제자유구역과 바이오산업을 품고 있는 도시로서 물류, 서비스, 제조업뿐만 아니라 세부적으로도 다양한 산업이 집적되어 있다. 그만큼 다양한 분야의 직업훈련이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이러한 훈련요구가 '기업과 사업구조 변화에 도움이 되도록 충족되고 있는가'는 계속 의문이다.

인천상공회의소에 설치되어 있는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인천지역 교육훈련 수급조사 보고서'를 살펴보면 HRD.net(직업능력개발정보망) 기준으로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사업 중 인천지역에 공급되는 직업훈련의 정원은 2016년 약 38만명, 2017년 약 50만명, 2018년 약 209만명, 2019년 약 63만명으로 밝히고 있다.

중요한 것은 해당 정원의 모집률이다. 앞서 밝힌 정원의 모집률은 2016년 약 27%, 2017년 약 23%, 2018년 약 7%, 2019년 약 15%로, 인접한 서울이나 경기도보다는 나은 상황이지만 3개년 평균 약 15%로 직업훈련의 운영 실적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공급되는 훈련에 대해서 재직자와 구직자가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도 하나의 중요한 이유다. 훈련참여를 이끌어 내지 못한 것은 훈련내용이나 운영과 관련된 질적 측면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인천, 서비스산업 급속 증가·제조업은 정체
'인구 고령화' 직업훈련시장에도 영향 미쳐


이러한 상황의 원인을 두 가지 정도 들 수 있겠다. 하나는 지역에 공급되는 직업훈련이 지역 산업변화 트렌드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천 산업의 비중은 지난 몇 년 동안 서비스산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제조업은 정체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비스업은 소규모성과 다양성을 기반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제조업은 전통적인 기계 및 전기전자 관련 제조에서 자동화 및 스마트화를 바탕으로 고도화되어 가고 있으며, 바이오관련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제조분야로의 이동으로 기술적·영역적 확대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공급되고 있는 직업훈련의 분야는 이러한 산업변화를 반영하기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모습이다.

원인 중 다른 하나는 직업훈련이 지역 인구구조 변화를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인천은 초고령화 사회 문턱에 와 있는 상황이다. 실제 경제활동 인구에서도 고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 직업훈련 참여자의 연령 구성을 살펴봐도 알 수 있다. 인천의 2019년도 직업훈련 참여자 중 청년(30대까지)의 비중은 2018년도 대비 약 4% 줄어들었고, 중년(50대 이상)의 비중은 4%가 증가했다. 인구 고령화가 직업훈련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직업훈련의 전반적인 기조는 기업이나 지방정부의 방침에 따라 젊은 훈련참여자의 참여 유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정부 주도의 일부 직업훈련이 중장년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그 규모나 파급력이 적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 기업과 산업구조 변화에 도움이 되는 직업훈련을 마련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소규모 훈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자체 직업훈련운영이 어려운 기업마다 개별 사업장 맞춤형 직업훈련을 소규모 참여자만으로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직업훈련의 산업변화 반영은 조금은 자연스러워질 수 있다. 물론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논란이나 실효성 및 예산 사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시범사업으로 시작해서 조율해 나가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기업별 소규모 참여자 운영토록 지원 필요
고숙련·전직 특화 등 훈련규모 더 확대돼야


또한 중장년을 포함하는 고령인구에 대하여 목적이 뚜렷하게 특화된 직업훈련의 규모가 더 확대되어야 한다. 특히 고숙련 및 이·전직 특화훈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훈련의 활성화는 고령 인력의 순환을 지원할 것이며 젊은 인력의 채용기회 증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권한이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 인천에도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중심으로 직업훈련과 관계된 다양한 유관기관들이 협업을 하고 있는데 지역 산업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소통과 지원이 강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심재선 인천상공회의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