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01회 대회는 아예 취소됐는데, 대학 입시 등을 이유로 고등부만이라도 치를 수 있게 한 것을 감사하기라도 해야 할지 고민스럽다.
국회 주도로 지난해 1월 전국 17개 시·도체육회 및 228개 시·군·구체육회의 민간회장 선거를 단행했다.
이렇게 뽑힌 민선 체육회장은 엘리트(전문) 체육과 생활체육 분야 체육인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선수 육성을 비롯해 올림픽 등 종합스포츠대회 출전 문제, 지역별 체육발전 방안 마련 등 여력이 닿는 한 각종 체육현안에 대응해 왔다.
지난 14일 이원성 경기도체육회장 등 전국 17개 시·도체육회장협의회는 전국체전의 정상 개최를 바라는 건의서를 발표하기도 했으며, 대한체육회 경기단체연합회 역시 철저한 방역 준수 등을 약속하며 개최를 희망했다.
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 정부는 의외의 발표를 해버린 것이다.
실망감을 떠나 정부의 이 같은 발표는 체육인의 삶을 짓밟았다고도 할 수 있다.
전국체전 결과를 놓고 지자체는 육성 종목별로, 각 선수별로 (재)계약을 단행하고, 종합체육대회 출전선수도 결정되며, 해외에서 열리는 선수권대회 출전 지원도 검토한다. 선수 개인별로는 각 지역 최고 선수와 선의의 경쟁을 통해 기량 차를 확인하며 연봉 증감도 이뤄지는 주요 이벤트다.
2020 도쿄올림픽 출전은 왜 막지 않았나. 최소한 대한체육회와 개최 지자체, 시·도체육회 간 논의를 했어야 체육인들이 무시되지 않았다고 할 텐데, 내년 대선과 지방선거에 체육인의 표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송수은 지역사회부(의왕) 차장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