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문을 닫아야 하나 고민입니다. 파산 직전입니다."


인천에서 인센티브 관광과 컨벤션 관련 MICE(마이스) 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최근 경인일보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하소연했다.

그는 "중국의 한 업체와 지난해 50억원의 매출을 일으킬 수 있는 10만명 규모의 인센티브 관광 계약을 맺었지만 코로나19로 무산됐다"며 "인력 60명 규모의 회사를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관련 매출이 전혀 없는 상황이 1년 넘게 지속하면서 지금은 직원이 7명밖에 남지 않았다"고 했다.

특히 인천에는 영세한 마이스 업체들이 많아 어려움이 더 크다는 게 A씨 설명이다. 인천엔 100여개 마이스 산업 관련 업체가 있다.

A씨는 "UIA(국제협회연합) 같은 해외 마이스 행사 인증기관에선 열 체크나 손 소독 등 관련 방역 지침을 지키는 행사에 대해선 열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런 게 전혀 없다"며 "고용 효과와 부가 가치가 큰 마이스 산업을 살리기 위한 정부 지원이 시급하다"고 했다. 


인천에 100여개 관련기업 소재
7개 단체, 정부 정책 시행 촉구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직접적 타격을 입은 마이스 업계가 최근 정부와 정치권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한국마이스협회, 한국 PCO협회, 한국전시주최자협회 등 전시회·국제회의·이벤트 관련 7개 단체는 지난 24일 공동 성명을 내고 "정부와 국회는 '위드 코로나' 정책을 즉각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코로나19가 1년 9개월여 동안 지속하면서 전시서비스업은 약 70%, 전시주최업은 55%, 이벤트를 포함한 행사업은 40% 이상의 매출이 감소해 폐업하는 업체가 속출하고 있다"며 "지금이 마이스 산업 업계의 생존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라고 주장했다.

또 "한시라도 빨리 해외 참가자들의 국내 입국을 위한 백신여권제도를 시행하고, 정부·공공기관의 전시 이벤트 행사를 정상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며 "그래야 마이스 산업 생태계의 보존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이 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1인 시위와 SNS 활동을 지속할 방침이다.

마이스 산업은 인천시의 전략산업 중 하나로, 지역 경제에서 비중이 낮지 않다. 특히 송도컨벤시아 일대 2.98㎢는 2018년 8월 '국제회의복합지구'로 지정됐다. 국제회의복합지구는 컨벤션센터와 숙박, 쇼핑시설 등 국제회의시설이 집적된 지역을 의미한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역 마이스 산업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며 "마이스 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