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일보 8월 온·오프라인 지면을 평가하는 독자위원회는 코로나19 확산세를 고려해 서면으로 진행했다.
김준혁(한신대학교 교수) 위원, 김민준(청년정의당 경기도당 운영위원) 위원, 안은정(다산인권센터 상임활동가) 위원, 유혜련(법무법인 정직 변호사) 위원이 비대면으로 의견을 냈다.
위원들은 취재 기자들의 노력이 돋보인 기사와 편집의 묘미를 살린 지면을 구성한 공로를 치하하면서도 사회적 갈등을 취재 보도할 때 편향된 시각을 담아선 안 된다고 짚었다.
"'폐기물 배출 문제의식' 후속기사" 제안
'택지발표, 군공항 피해주민 증가' 시의적절
'이주노동자 무더기 확진' 편향 시각 지적
안은정 위원은 <[경인 WIDE] 방치할 수 없는 비극 '산업재해'>(2~4일자 1·3면) 기획 기사를 비(非) 서울지의 기록 측면에서 큰 의미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안 위원은 "매해 2천명씩 산업재해로 사망하는 한국 사회를 고발하는 의미 있는 기사로 지자체 산재율 1위를 차지한 경기도의 현실과 지자체의 권한 부재 문제를 지적하며 안전이라는 기본권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했다"고 말했다.
안 위원은 또 "2018~2020년 3년간의 재해조사의견서를 분석하며 기사를 준비한 기자들의 열정에 감사하다"며 "첫날 1면에 경기지역에서 사망한 노동자들의 명단을 담은 것은 퇴근하지 못한 채 삶을 마감한 누군가의 마지막 기록이었다. 그 마지막을 함께 기억한 것이 의미 있었다"고 덧붙였다.
유혜련 위원은 '산업재해 트라우마'를 다룬 <현장에서 동료가 숨졌다, 그의 죽음이 매일밤 찾아왔다>(4일자 1면)를 인상 깊은 기사로 꼽았다.
유 위원은 "산재를 겪은 근로자의 경험을 재구성해 기사를 작성했다. 그들의 상황을 공감하는 데 도움이 됐다"며 "산재 근로자들의 이름을 나열한 것은 산재의 심각성을 단번에 알리는 데 효과적이었고, 노동자의 안전권이 기본권이라는 외침은 묵직했다"고 강조했다.
청년 독자를 대표하는 김민준 위원도 "인터넷 경인일보에 게시한 산업재해 인터랙티브 기사가 흥미로웠다"며 "지역 자체적으로 산재 문제가 어떠한지 심층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감독관 1명이 맡아야 할 사업장이 4천개나 된다는 점 등 구조적인 문제도 짚었다"고 평가했다.
<급속 충전소 지역별 편차 심각… 발 묶인 '교통약자 전동휠체어'>(6일자 1면)와 <[현장르포] 전동휠체어 이용 장애인 '저상버스' 동행기>(20일자 4면)는 장애인 이동권을 깊이 있게 다룬 기사였다.
안 위원은 "노인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교통수단인 전동휠체어 충전소가 지역별 편차가 크다는 문제를 현장감 있게 보도했다"며 "저상버스 동행 르포는 경사판도 내리지 못하는 저상버스의 실태와 이동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장애인의 현실을 잘 드러냈다. 이동약자 교통수단의 불편함을 잘 드러낸 보도"라고 했다.
<[경인 WIDE] 오르지 않는 일반쓰레기 봉투가격>(19일자 1·3면)은 경각심을 불러온 보도라는 평이 나왔다.
유 위원은 "쓰레기 매립장 관련 이슈가 논란을 낳는 상황에서 종량제 봉투의 도입 취지를 상기하고 쓰레기 처리 비용 부담에 대해 고민하게 하는 의미 있는 기사였다"고 했다.
안 위원도 "오염자 부담 원칙이라는 쓰레기 종량제 도입 취지가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쓰레기를 공동 책임지지 않는 우리네 모습을 드러냈다"고 짚었다.
안 위원은 또 <[경인 WIDE] 더 미룰 수 없는 '폐기물처리시설 확충'>(23일자 1면)이 "내 집 앞은 안 된다는 님비(NIMBY) 문제, 지자체의 미루기 문제 등을 다뤘다"면서 "더 중요한 것은 적게 소비하고 적게 배출하는 것 아닌가 싶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담은 후속기사를 기대한다"고 제안했다.
김준혁 위원은 <수원 군공항 이전 공회전인데… 개발 호재 '끼워넣기'>(30일자 7면)에 대해 "국토교통부가 수원 군공항과 인접한 화성시, 진안·봉담3지구를 신규 공공택지로 발표하면서 군공항으로 인해 피해를 볼 주민이 더 늘어나게 된 상황을 시의적절하게 짚었다"며 "수원시와 화성시, 국방부가 당당하게 협상 테이블에 나서 군공항 이전 문제를 마무리해야 한다"고 평했다.
경인일보 지면에 대한 고질적인 아쉬움은 이번에도 나왔다.
위원들은 한 걸음 더 들어간 친절한 기사를 주문했다. 유 위원은 <정부 '확대' vs 지자체 '규제' 갈린 '태양광 정책'>(12일자 1면)을 "태양광 사업 규제에 반발하는 태양광 사업자들을 다룬 기사로 상위법이 조례에 위임한 범위를 담았다면 더 명확하게 정부와 지자체의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안 위원은 인권 감수성 결여와 이주노동자에 대한 편향된 시각을 지적했다.
안 위원은 <[현장르포] 무더기 확진자 나온 인천 함박마을>(25일자 6면)에서 "이주민들의 대거 거주와 10명 중 2명은 노(no) 마스크 등 이주민 방역을 문제점으로 보도했다"며 "코로나19 확진과 집단감염 대상에 대한 혐오와 차별이 큰 문제였는데, 기사 작성에서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리/손성배기자 s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