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관련 화천대유 압수수색2
서울중앙지검 대장동 개발의혹 사건 전담수사팀이 29일 오후 성남시 분당구 화천대유자산관리 사무실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특혜 의혹과 관련한 압수수색을 마친 뒤 압수품을 차량에 옮기고 있다. 2021.09.29.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검찰과 경찰이 성남시 대장동 개발 특혜의혹에 대해 각각 전담수사팀을 꾸리고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고발인 조사로 수사를 개시했고, 검찰은 동시 압수수색으로 수사 첫날부터 속도를 높였다.

경기남부경찰청은 29일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대장·고석길 총경) 27명, 서울경찰청 11명 등 수사인력 38명으로 구성된 전담수사팀을 꾸렸다.

경찰 전담수사팀이 맡은 사건은 총 3건이다. 시민단체인 서민민생대책위원회가 경찰청에 고발한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곽상도 국회의원 아들 퇴직금 50억원 수수 의혹 등 2건과 앞서 서울 용산경찰서가 내사해 온 '자금 흐름' 관련 수사다. 수사팀은 금융정보분석원(FIU)에서 통보한 내용 등 수사 자료 일체를 넘겨받았다.

경찰은 이날 오후 고발인 조사를 벌이면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고발인 조사차 출석한 김순환 서민민생대책위원회 사무총장은 "검찰이 다수 연루돼 있어 경찰수사가 맞다고 생각했다"며 "50억 수수 의혹은 상식을 뛰어넘는 행위"라며 고발 취지를 설명했다.

경찰 전담수사팀은 이한성 천화동인 1호 대표 등 조사 대상자를 확정하고, 순차적으로 조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검찰, 화천대유·천화동인 동시 압수수색… 경찰, 고발인 조사 수사 속도
경실련 "부분·산발적 수사로 토건 부패 해소에 한계… 특검 필요" 지적


검사 17명으로 전담수사팀을 꾸린 검찰은 수사 첫날인 이날 오전 화천대유와 천화동인 4호 사무실을 동시에 압수 수색했다.

화천대유는 전직 언론인 김만배씨가, 화천대유 관계사인 천화동인 4호는 남욱 변호사가 소유한 회사다.

화천대유 압수수색 마친 검찰
서울중앙지검 대장동 개발의혹 사건 전담수사팀이 29일 오후 성남시 분당구 화천대유자산관리 사무실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특혜 의혹과 관련한 압수수색을 마친 뒤 압수품을 차량에 옮기고 있다. 2021.9.29.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검찰은 압수물 분석과 함께 사건 관계인들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이미 천화동인 5호의 실소유주로 알려진 정영학 회계사를 1차례 소환 조사했다.

일각에선 검·경 수사를 넘어 '특검'이 필요하단 지적도 나온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이날 "특검 도입이 시급하다"는 내용의 성명을 냈다.

경실련은 "부분적·산발적 수사로는 썩은 냄새가 진동하는 토건 부패를 해소할 수 없다"며 "검찰의 강제수사와 함께 국회는 특검을 신속히 도입해 비리의 실체를 낱낱이 밝혀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성남시가 인허가권자로 역할과 택지수용까지 도맡으며 사업 리스크를 줄여줬다"며 "부정부패를 차단하기보다는 특혜이익의 지원자 역할을 수행했다"고 강조했다.

/김동필·이시은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