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절마다 음색을 달리하며 온몸으로 낭독을 마치자 환호가 쏟아졌다. 정하림 작가가 지난 1년간 공들인 그림책 'ㅂㄱㅂㄱ으로 이어지는 나의 이야기'를 세상에 내놓는 순간이었다.
책은 1분 남짓이면 다 읽을 수 있을 만큼 짧은 분량이지만, 경력단절여성이던 그가 아들과 함께 직접 쓰고 그리고 색을 입혀 완성한 예쁜 추억의 기록은 여느 기성 작품의 성취감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정하림 작가는 초등학교 4학년과 2학년 자녀를 둔 엄마였다. 지난해 무릎을 심하게 다친 후 거동조차 힘들 때 이 같은 프로젝트가 진행된다는 소식을 우연히 접하고 참여했다.
정 작가는 "심리적으로 육체적으로 힘들던 시기에 그림책 작업을 하면서 자신감도 많이 키우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다"면서 "나는 어떤 사람인지 성격적인 부분을 적어보고, 재미있게 풀어나가기 위해 동물들의 특징을 대입해 봤다. 그 연결고리가 의태어 'ㅂㄱㅂㄱ'이었다"고 소개했다.
출산·육아·이사로 경력 끊긴 여성 18명 작가로 정식데뷔
시의회 여성친화도시모임과 주최한 북콘서트 무대 올라
자신 만의 이야기 담담히 고백...사회 향한 날갯짓 '감동'
이날 행사는 김포시에서 지원하는 마을공동체 '함께하는맘'(대표·김희경)과 김포시의회 여성친화도시연구모임(대표·김계순)이 공동 개최한 '김포 여성들의 BOOK콘서트'였다.
함께하는맘 공동체는 김포지역 경력단절여성들에게 자기개발 기회를 제공, 심리적·경제적 안정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지난해 결성됐다. 시작은 지난 2019년 김포시 사회적경제마을센터 수강생이었던 5명의 엄마였다. 교육을 받으며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이 있다는 걸 알게 된 이들은 마을센터의 컨설팅 도움을 받아 이듬해 주민제안사업으로 함께하는맘을 추진했다.
결혼과 육아, 신도시 이주 등으로 경력이 뚝 끊겨 사회활동에 주저하던 여성들이 고민을 소통하며 서로의 역량과 재능을 일깨워줬다. 그렇게 18명의 그림책 작가가 탄생했다.
정 작가를 비롯해 문지연(꿈), 허순영(점으로 놀자), 김순영(나의 꿈이 되었어요!), 채금옥(자라나고 있어요), 허유리(문어 엄마), 김소현(마음의 섬), 빈소희(영우야), 허신영(김포 고촌 이야기1), 변은정(나의 성장기), 조주연(동생별을 찾아서), 황지영(똥꼬 아저씨의 하루), 조아름(어여쁜 꽃을 피울 너에게), 황연숙(혼자가 아니야), 고은혜(예쁜리본), 이모은(김포), 이영주(달퐁이의 스케이트보드) 작가는 세상 하나뿐인 이야기를 아기자기하게 녹여냈다.
'김포'를 주제로 무대에 오른 이영주 작가는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출연하는 동물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 차별이 아닌 차이, 틀림이 아닌 다름을 표현하고 싶었다"며 "출생·나이·가치관이 다 달라도 우리는 지금 김포에 살고 있고, 그들이 있기에 김포가 발전하고 꿈꾸는 도시가 될 수 있으면 하는 마음을 담았다"고 창작 경위를 설명했다.
또 허유리 작가는 "지난해 만우절에 거짓말처럼 암 선고를 받고 1년째 투병 중이다. '문어 엄마'는 그동안 나의 투병으로 가족들이 받았을 상처를 조금이나마 위로하기 위해 만든 책"이라고 했다.
허 작가는 평온한 어조로 항암치료를 받는 과정에서의 신체적 변화, 이에 따른 아이의 천진한 위로, 가족을 향한 고마움을 고백해 객석을 숙연하게 했다.

신명순 의장은 "함께하는맘 공동체를 통해서 김포가 여성친화도시로서 어떻게 나아갈지 설정이 명확해졌고 많이 배우게 됐다"며 "경력단절여성들의 삶과 관련해 오늘 나온 의견을 정책적으로 어떻게 만들어 나갈지 고민하겠다"고 약속했다.
행사는 이영주·정하림·허유리 작가와 여성친화도시연구모임 신명순·김계순 의원이 참여한 토크로 이어지며 점심시간을 훌쩍 넘겨 마무리됐다.
김희경 함께하는맘 대표는 "함께하는 맘은 마을공동체이고, 엄마이고, 마음이고, 공간이고, 자라나고 있다. 북콘서트가 끝이 아니라 2022년도를 달려가는 공동체가 될 거라고 믿는다"며 지역사회의 응원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