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으로 서울대학교의 올해 정시모집인원은 1천2명으로 전년보다 251명 늘었다. 지난 5년간 서울대 정시모집인원 중 최고치이며 내년 2023학년도 입시에서는 그 인원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능의 중요성이 커진 만큼, '공정한 수능'을 요구하는 목소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에 강민정 열린민주당 의원과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지난 9월28일 '킬러문항 금지법'을 발의했다.
변별력을 이유로 고교 교육과정 수준을 넘는 이른바 '킬러문항'을 출제하는 관행을 바꿔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이들은 28일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적용 대상에 수능시험을 포함한 개정안을 발의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이 법안이 공교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변별력 유지에 필요하다 의견
교육의 수준 떨어질 가능성도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시가 확대되는 가운데 수능의 변별력이 사라지면 대입에 필요한 내신과 논술 등에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당사자인 고등학생들은 일명 수능 킬러 문제 및 위 법안과 관련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들어봤다.
김모(18)군은 수능의 킬러 문제가 나와야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군은 "ebsi와 같이 수능을 대비할 수 있는 무료서비스가 있다"며 "사교육 없이도 충분히 수능 킬러문항은 준비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킬러 문제 금지로 교육의 수준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는 학생도 있었다.
최종우(18)군은 "대학은 미래 인재를 찾는 배움의 장소인 만큼 정시에서 킬러 문제를 금지함으로써 변별력을 줄이면 오히려 학생들의 교육의 질이 떨어질 것"이라고 했다.
박민욱(18)군은 "수시를 대비하는 입장에서도 수능 최저등급을 맞추기 위해 수능 공부를 한다"며 "수능 킬러 문제에 대비를 해야 하는데 킬러 문제를 금지하면 정시를 준비하는 학생들과의 공정성에도 문제가 생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처럼 학생들은 킬러 문제 금지를 우려하는 입장이었다. 사교육 갈등으로 인해 킬러 문제 출제를 금지하기보단 누구나 노력하면 킬러 문제를 풀고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도록 교육참여 기회를 확대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킬러 문제 폐지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 성적기준에 대한 또 다른 방안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평택 태광고 김주혁
※위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