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 주차장된 도로
최근 가평군 가평읍 보행도로가 없는 한 소로(폭 8~10m) 도시계획도로에서 양방향에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학생들이 도로 중앙으로 통행하고 있다. 2021.10.24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

가평군 내 다수의 시가지 도시계획도로 등이 개설과 동시에 주차장으로 전락, 도로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도로 양면 주차 등으로 보행자 안전 위협은 물론 소방차 등 긴급 자동차 진입이 어려워 화재 발생 시 대형사고 우려도 낳고 있다. 또 이들 도로는 대형 자동차는 물론 소형차도 양방향 교행이 불가해 이에 따른 교통혼잡으로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24일 가평군에 따르면 군은 올해 10여 곳의 시가지·간선 도시계획도로 등 도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군내 도시계획도로는 소로(폭 8~10m), 중로(폭12~20m) 등으로 개설되며 시가지 도로는 대체로 소로로 이 도로는 보행자 도로가 없다. 이에 시가지 도시계획도로 변에 주차할 경우 주차 차량으로 인해 보행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돼 있으며 교통혼잡은 일상이다.

 

양면 주차 '혼잡' 보행자 안전 위협
소방차 진입 어려워 대형사고 우려
공영주차장 확대등 대책 시급 지적


지역 일각에서는 도로 한 방향만 주정차를 허용하고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해서는 강력한 지도 단속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주민 불편은 물론 주차장의 협소와 불법주차 차량들로 인해 가평을 찾은 관광객 등으로부터 이미지가 실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공영주차장 확대와 공용 주차장의 유료화를 제시하는 등 군 주차 종합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주민 박모(50)씨는 "도시계획에 따른 형식적 도로 개설이 아닌 교통량, 도로 인근 인구분포 등 전반을 고려해 보행도로, 주차장 등 관련 시설 등에 대해서도 면밀한 검토 이후 추진돼야 한다"며 "도시계획도로가 도로인지 주차장인지 모를 지경으로 시민의식 개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상인 김모(51)씨는 "가평을 찾는 관광객들이 처음 접하게 되는 서비스가 주차일 텐데 주차장 협소와 불법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가평의 이미지가 실추되고 있다"며 "가평을 관광도시로 지속적 성장시켜 나가고자 한다면 첫 번째 갖추어야 할 것이 주차장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군 관계자는 "불법 주정차 강화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공용주차장의 단계별 유료화 등도 추진할 계획"이라며 "가평읍·청평면 등에 공용주차장 건설을 추진하고 향후 공용주차장 유료화 등 단계별 주차장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