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0461.jpg
사진은 수원시 자원순환센터의 저장공간을 넘어선 옥외저장고에 쌓인 폐플라스틱 쓰레기.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없음. /경인일보 DB
 

지난해부터 이어진 코로나19 영향으로 플라스틱 생산량과 소비량이 급증하면서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이에 서울과 인천에서는 이미 관내 미세플라스틱 실태조사 등을 시작했는데, 경기도는 중앙정부만 바라보며 소극적인 모양새다.

16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생활폐기물 중 플라스틱 발생이 지난 2009년 188만t에서 2018년 323만t으로 약 7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 여파로 일회용 포장 용기 등의 사용이 늘어나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2019년 대비 지난해 음식 배달이 78% 증가하면서 폐플라스틱과 폐비닐이 각각 18.9%, 9% 늘었다. 이에 더해 5㎜ 미만의 작은 크기로 하수처리시설에서도 걸러지지 않는 미세플라스틱 우려도 커졌다. 바다와 강으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각종 환경오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일회용 포장용기 사용 늘어 '심각'
경기도의회, 보건연 '소극 대응' 지적
"수돗물 등 대상 조사 진행" 해명


이 같은 상황에 서울과 인천은 관내 미세플라스틱 조사체계를 갖추고 선제 대응을 하고 있다.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은 2019년 1월부터 분기별로 인천 앞바다 일대에서 미세플라스틱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반면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아직 중앙정부의 공식적인 조사방법이 나오지 않았다며 손을 놓고 있다.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의 도 보건환경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이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도내 미세플라스틱 실태조사와 더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as-is_10_10082.jpg
임창열 의원. /경기도의회 제공

임창열(민·구리2) 의원은 "최근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연구결과를 보면, 검사대상인 주택과 공동이용시설, 야외시설 모두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음식물로 섭취하는 미세플라스틱 양과 호흡으로 흡입하는 양이 비등하다는 연구결과도 있어 우리 일상생활 공간 다방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해 이에 대한 실태조사가 시급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도가 미세플라스틱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 같다. 지난해 행감에서도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내년 상반기 이후에 정부가 통일된 검사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며 "손을 놓고 있지는 않고 수돗물이나 도내 정수장을 대상으로는 몇 차례 조사를 진행했다"고 해명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