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선수가 안정적으로 선수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경기도장애인체육회 차원에서 경기도 내 공공기관에 장애인 선수 고용을 권장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혀 사실상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창단이 전무한 상황이다.
23일 경기도장애인체육회에 따르면 현재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중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경기도일자리재단이 유일하다.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요트 1명, 탁구 2명, 골프 1명 등 총 4명의 장애인 선수들로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를 운영하고 있다.
기초자치단체인 성남시, 평택시, 시흥시, 김포시 등도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를 운영하고는 있지만 도내 공공기관의 장애인 직장운동부 운영은 이례적인 사례로 평가될 만큼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장애인체육회서 창단 요청 불구
"조직정원 늘리기 어렵다" 답변
도장애인체육회에서는 공공기관이 일반기업에 비해 안정적으로 재정을 확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공공성 강화에 역량을 쏟고 있다는 점에서 끊임없이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창단을 요청하고 있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답변만 받고 있다.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것은 조직 정원이다. 업무와 관련된 조직 정원을 늘리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업무와 관련 없는 장애인 선수를 고용하는 것이 조직 운영 차원에서 어렵다는 것이다.
도장애인체육회 측은 장애인 체육 선수 채용 시 도내 공공기관이 일정 부분의 인센티브를 받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봤다.
기관평가에 있어 가점을 주거나, 출자·출연금을 편성할 때 추가 지원 등의 방안이 동원돼야 한다는 것이다.
선수채용시 인센티브 제도 필요
공공서 앞장서면 민간 관심 기대
인센티브를 통해 도내 공공기관이 장애인 체육 선수 고용에 앞장서면, 민간기업에까지 장애인 인식개선과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게 도장애인체육회의 생각이다.
도장애인체육회 관계자는 "장애인 선수들이 계속 훈련을 해야 올림픽 진출을 꿈꾸는 등 자기 비전을 만들 수 있는데 그런 여건을 공공에서 만들어달라는 것"이라며 "경제적으로 안정이 돼야 편안하게 훈련도 할 수 있어 도내 공공기관들이 나서서 경기도 선수들을 안아주는 문화를 만들어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