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_1.jpg
최근 곰 탈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지만 국내 사육 곰 관리 방안 마련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 7월 곰 탈출로 논란이 된 농장주가 법정 구속된 뒤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여주 점동면 사육곰 농장.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한강유역환경청에서 사육 곰 관리를 야생생물관리협회(이하 협회)에 맡긴 것을 두고 부적절한 조처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한강청은 협회에 곰 관리를 맡긴 뒤 비정기적으로 현장을 점검하는 데 그쳤던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용인과 여주의 곰 농장(11월23자 7면 보도=용인 농장서 '곰' 또 탈출… "소극 행정이 사고 불렀다"·24일자 7면 보도=도로 옆 '뜬장' 겨울잠도 못자… 무관심 속 방치된 곰들)은 현재 협회에서 관리한다. 협회는 곰 먹이 공급, 사육장 시설 관리 등을 조건으로 최근 한강청과 위탁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협회가 사육장 관리를 맡은 것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협회는 환경부 산하 단체인데 대부분 20~30년 경력의 엽사들이 활동한다. 이들은 주로 밀거래 단속, 수렵 강의 및 강습 등을 한다.

밀거래 단속 주활동… 전문가 없어
동물보호단체 "업무 적합성 의문"
한강청, 특이사항 보고때만 방문




문제는 이곳에는 곰 전문가가 없다는 것이다. 동물단체에서 협회가 곰 관리 업무를 위탁받은 것을 두고 의문을 품는 이유다.

녹색연합 관계자는 "동물권 단체에서도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면서도 "곰 전문가 부족 등 이유로 현실적인 대안이 없어 안타깝다"고 짚어냈다.

한강청의 주먹구구식 관리 방식도 문제였다. 한강청은 협회에 위탁을 맡긴 뒤 사실상 확인 절차를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강청은 협회에서 특이사항을 보고할 시에만 현장을 방문, 추가 조치를 취해 왔다.

이와 관련, 협회 관계자는 "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다"면서도 "안전상 우려 등을 이유로 한강청에서 협회에 위탁을 맡겼다"고 말했다.

한강청 관계자도 "협회는 수렵을 하는 이들이지만 야생생물에 대한 지식이 많다"며 "곰이라는 개체를 다뤄본 단체가 없고, 사육 곰이긴 해도 일반 동물단체에게 관리 위탁을 주기에는 안전상 위험 요소 등이 있어 협회에 맡겼다"고 말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