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치 찬반을 두고 1년 이상 갈등(10월 12일 제9면 보도=가평 종합장사시설 재추진… 갈등 다시 불붙나)을 빚어 온 가평 장사시설 건립사업이 중단 위기에 몰렸다.
가평군이 공모사업에서 군민 자율 제안 사업으로 전환, 공모에 들어갔지만 끝내 단 1곳의 신청서도 받지 못해서다.
11일 군에 따르면 가평군장사시설추진자문단(이하 자문단)은 1·2차 공모 무산 이후 지난 10월 12일부터 12월 10일까지 60일간의 공모기간 일정으로 공모사업에서 군민 제안 사업으로 전환한 가평 장사시설 건립 사업을 공고했다.
하지만 신청 마감 결과 사업의사를 밝힌 곳은 단 1곳도 없었다.
이로써 지난해 7월 첫발은 내디딘 자문위 발족 이후 1년 5개월여 만에 사업이 무산 위기에 처한 것이다.
자문단은 지난 10월 군의 '미래발전 군민 대토론회', '가평군 장사시설 추진방향 설문조사'를 통한 군민 의견 등을 보고받은 후 주민 제안사업 형태로 장사시설 건립을 원점 재추진키로 했다.
이에 대해 당시 반대위 측은 반대대책위 등이 참석하지 않은 군민 대토론회와 군의 의도가 담긴 설문조사 결과 등에 대해 '불공정한 행태'라고 지적하며 반발했다.
정연수 반대대책위원장은 "가평군 '미래발전 군민 대토론회'는 가평군수 주민소환투표 서명 과정에서 나왔던 군민 의견은 제쳐놓고 가평군이 선정한 패널들로 구성해 개최됐다"며 "여론조사는 가평군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원정화장, 10배의 화장비 부담으로 불편하니 가평군에 화장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또한 의회는 공고 직후 공모사업에서 주민제안사업으로 전환한 사업 추진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배영식 의장은 "군민의 다른 지역 장사시설 이용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가 되어야 했던 장사시설 건립사업이 단독형과 공동형이라는 추진 유형에 대한 논쟁으로 전락해 버리며 사업 초기 단계에서부터 현재까지도 그 논쟁의 불씨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집행부에서는 또다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을 염두에 둔 장사시설 군민 제안사업을 공고함으로써 주민의 갈등이 재점화되는 것이 아닌지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강조했다.
군 관계자는 "추후 자문위 회의를 통해 모든 사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제안 사업은 부지면적 10만㎡ 이상으로 화장시설, 봉안시설, 장례식장 등이 들어서며 단독·공동형의 규모는 신청마을의 자율 결정 사항이다.
유치지역은 화장로 최소 3기 이상, 최대 10기 이하로 1기당 20억원 최대 200억원을 지원되며 유치 마을(1개 이상 행정리)에는 수익시설 운영권과 일자리 제공, 화장 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
가평군이 공모사업에서 군민 자율 제안 사업으로 전환, 공모에 들어갔지만 끝내 단 1곳의 신청서도 받지 못해서다.
11일 군에 따르면 가평군장사시설추진자문단(이하 자문단)은 1·2차 공모 무산 이후 지난 10월 12일부터 12월 10일까지 60일간의 공모기간 일정으로 공모사업에서 군민 제안 사업으로 전환한 가평 장사시설 건립 사업을 공고했다.
하지만 신청 마감 결과 사업의사를 밝힌 곳은 단 1곳도 없었다.
이로써 지난해 7월 첫발은 내디딘 자문위 발족 이후 1년 5개월여 만에 사업이 무산 위기에 처한 것이다.
자문단은 지난 10월 군의 '미래발전 군민 대토론회', '가평군 장사시설 추진방향 설문조사'를 통한 군민 의견 등을 보고받은 후 주민 제안사업 형태로 장사시설 건립을 원점 재추진키로 했다.
이에 대해 당시 반대위 측은 반대대책위 등이 참석하지 않은 군민 대토론회와 군의 의도가 담긴 설문조사 결과 등에 대해 '불공정한 행태'라고 지적하며 반발했다.
정연수 반대대책위원장은 "가평군 '미래발전 군민 대토론회'는 가평군수 주민소환투표 서명 과정에서 나왔던 군민 의견은 제쳐놓고 가평군이 선정한 패널들로 구성해 개최됐다"며 "여론조사는 가평군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원정화장, 10배의 화장비 부담으로 불편하니 가평군에 화장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또한 의회는 공고 직후 공모사업에서 주민제안사업으로 전환한 사업 추진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배영식 의장은 "군민의 다른 지역 장사시설 이용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가 되어야 했던 장사시설 건립사업이 단독형과 공동형이라는 추진 유형에 대한 논쟁으로 전락해 버리며 사업 초기 단계에서부터 현재까지도 그 논쟁의 불씨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집행부에서는 또다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을 염두에 둔 장사시설 군민 제안사업을 공고함으로써 주민의 갈등이 재점화되는 것이 아닌지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강조했다.
군 관계자는 "추후 자문위 회의를 통해 모든 사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제안 사업은 부지면적 10만㎡ 이상으로 화장시설, 봉안시설, 장례식장 등이 들어서며 단독·공동형의 규모는 신청마을의 자율 결정 사항이다.
유치지역은 화장로 최소 3기 이상, 최대 10기 이하로 1기당 20억원 최대 200억원을 지원되며 유치 마을(1개 이상 행정리)에는 수익시설 운영권과 일자리 제공, 화장 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