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변환]01_강화읍A
최근 강화발전을 촉구한 한국농촌지도자강화군연합회, 강화후원회 및 강화사랑모임, 재경강화향우회 등 시민단체들도 영종~강화 간 연륙교를 건설해 서해안 교통 및 해상·항공물류의 교두보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화 남단의 첨단산업 유치와 해양·역사·문화관광산업을 활성화해 자족 도시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강화읍 전경. 2021.12.15 /강화군 제공

북한과 맞닿은 접경지역인 강화도는 전체 면적의 3분의1이 민통선 지역이다. 이 지역은 안보규제로 재산권과 통행에 제한을 받고 있다. 강화도는 접경지역임에도 DMZ(Demilitarized Zone)가 없는 곳이다.

DMZ는 남북으로 각각 2㎞씩 총 4㎞가 떨어져 있지만 강화도와 북한 개풍군과의 짧은 거리는 1.8㎞다. 북한과 가까운 거리에 있고 DMZ가 없다는 것은 강화가 남북을 잇는 중심지로서의 지리적 장점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상·육로 접근이 쉽고 인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연륙교가 건설되면 경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곳이 바로 강화다. 정책 전문가들은 남북평화시대가 열리면 강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분석한다.

박남춘 취임 '서해남북평화도로' 첫발
영종~강화 도로개통땐 개성 연결 '경제축'
송도보다 접근성… 인천공항 배후 잠재력


1995년 강화가 인천시로 편입된 이후 전임 인천시장들은 남북 평화를 기반으로 한 강화 발전 정책을 구상했다. 안상수 전 시장은 재임 시 강화 북단 2천만평(약 6천611만㎡)을 경제자유구역으로 개발하는 용역을 발주했었다.

강화 북단 양사면·하점면·송해면에 개성공업단지와 업종을 달리한 산업단지를 조성해 개성 등 가까운 곳에 사는 북한 주민들이 출·퇴근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자는 취지였다. 안 시장에 이어 취임한 송영길 전 시장도 강화 교동에 남북협력산업단지 조성을 계획했었다.

이후 박남춘 시장이 취임하면서 서해남북평화도로의 첫발을 내디뎠다. 교동 평화산업단지 조성과 서해남북평화도로 건설은 박 시장의 공약이다.

박 시장은 서해남북평화도로가 영종~신도~강화에 이어 개성~해주를 잇게 되면 남북경협과 물류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접경·도서지역의 접근성 개선과 한반도 서해평화벨트 조성을 통한 남북교류협력 기반 구축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영종과 강화를 잇는 서해남북평화도로 중 1단계 영종~신도 2차로 구간(3.2㎞)은 지난 10월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됐다. 민자 방식으로 계획한 2단계 신도~강화 구간(11.4㎞)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하고자 '제2차 국가도로망 종합계획(2021~2030)'에 반영해달라고 인천시가 국토교통부에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연륙교 해상·항공물류 교두보 조성해야
시민단체 '인공섬 매립장 제안' 재원 확보
전문가들 "정부·인천시 재정 등 지원을"

민간개발사업자도 강화 개발사업에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2016년에는 2조2천억원을 투자해 강화 남단에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해 의료서비스 산업 단지인 '강화 메디시티 개발사업'이란 청사진을 내놓기도 했다. 이 개발사업의 핵심은 영종~강화 간 연륙교 건설이다.
 

당시 강화경제자유구역프로젝트매니지먼트(주)는 사업 계획안을 통해 영종~강화 간 도로가 개통될 경우 강화지역은 인천공항의 직접적인 영향이 미치는 배후지역으로 향후 송도~영종~강화~개성으로 연결되는 서해안 경제축 구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강화는 영종과 직선거리로 12㎞의 가까운 거리에 있지만 바다로 분리되어 있어 육지부를 우회해 공항으로 접근 시 약 43㎞, 약 1시간 30분의 먼 거리에 있다. 영종~강화 간 도로가 개통될 경우 공항으로부터 15분의 근거리에 위치해 송도보다 접근성이 더 좋아진다. 인천공항의 배후지역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다는 것이다.

최근 강화발전을 촉구한 한국농촌지도자강화군연합회, 강화후원회 및 강화사랑모임, 재경강화향우회 등 시민단체들도 영종~강화 간 연륙교를 건설해 서해안 교통 및 해상·항공물류의 교두보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화 남단의 첨단산업 유치와 해양·역사·문화관광산업을 활성화해 자족 도시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 시민단체는 영종~강화 간 연륙교 건설이 정부 지원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부족한 사업비를 확보하는 방안으로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친환경 인공섬 쓰레기매립장 조성'을 제안했다.

인공섬을 만들어 친환경 쓰레기매립장을 건립하면 수도권 대체 매립지를 유치하는 인센티브(지역발전 지원금 등)로 연륙교 건설 등 강화 발전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앞으로는 쓰레기를 소각하고 남은 재를 매립하기 때문에 침출수나 환경 문제가 적어 친환경적"이라며 "일본과 싱가포르에서는 인공섬을 만들어 폐기물매립지로 사용한 뒤 생태공원, 체육시설, 캠핑장, 공연장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책 입안 전문가들은 강화가 남북 공조시대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 지리적 여건을 충족하고 있지만 교통 접근성이 떨어지고 과도한 문화유적 규제로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남북한 평화시대가 열리고 난 뒤 규제를 풀고 교통망을 구축하고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너무 늦다는 것이다.

강화군 관계자는 "서해평화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북측에 손을 대기에 앞서 남측부터 미리 준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정부와 인천시의 관심과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진호기자 province@kyeongin.com
 

10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