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엽_-_오늘의창.jpg
김주엽 인천본사 사회팀 차장
인천지역 연안여객선 준공영제가 위기를 맞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인천 옹진군 자월면 이작·승봉·자월도와 육지를 잇는 2개 항로를 연안여객선 준공영제 항로에서 탈락했기 때문이다. 앞서 해수부는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연평도 항로를 오가는 연안여객선 운항 선사에도 올 하반기 준공영제 결손금을 지원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밝히면서 이 항로 연안여객선은 하루 1차례 운항으로 전환된 바 있다.

연안여객선 준공영제는 정부가 매년 일정액의 예산을 운항 선사에 지원해 안정적으로 연안여객선을 운항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도서지역 항로 가운데 2년 연속 적자 혹은 1일 생활권이 구축되지 않은 항로를 대상으로 선사 운항 결손금을 국비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1일 생활권 미구축 항로 중 선사가 항차 수 혹은 기항지를 늘려 운항했을 때 발생한 결손액을 전액 지원하는 한편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항로는 운항결손액의 최대 70%를 보전해왔다.

그런데 이작·승봉·자월도와 연평도의 준공영제 예산 지원이 중단되면서 이들 섬 주민들은 병원 진료 등을 받기 위해 배를 타고 나오면 무조건 이틀 이상 육지에 머물러야 할 형편에 놓이게 된다. 주민들이 당연히 분통을 터뜨릴 수밖에 없다.

지역의 여론이 악화하자 해수부는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연평 항로를 다시 준공영제 항로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도 육지와 이작·승봉·자월도를 오가는 연안여객선이 1일 2차례 유지될 수 있도록 예산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으나 아직 제대로 확정된 것은 없다.

정부와 인천시는 인천 도서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연안여객선 준공영제 유지 방안을 찾아야 한다. 육지 사람에게는 당연한 교통편의를 섬 주민들도 누릴 수 있게 만들겠다는 연안여객선 준공영제 취지를 고려하면 당연한 행정이다. 섬 주민들도 육지 주민들과 동등한 혜택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정부와 지자체는 명심해야 한다.

/김주엽 인천본사 사회팀 차장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