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 한 어린이집에서 불거진 아동학대 의혹 수사에서 핵심 증거가 담긴 영상확보에 실패해 '부실수사'란 비판에 직면한 경찰(12월14일 인터넷 보도=[단독] 경찰, 안성 아동학대 신고 7일만에 현장방문 '핵심 증거' 놓쳐)이 실추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담당 수사관 교체 등 초강수를 두고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경찰은 아동학대 사건의 엄중함을 이유로 전 수사관들에 대한 자체조사를 통해 지침 위반 등이 확인될 경우 징계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안성 어린이집 아동학대 의심 신고와 관련해 안일한 대처와 미흡한 초동수사로 사건의 핵심 증거인 CCTV 확보에 실패한 책임을 물어 지난 14일 담당 팀장과 수사관을 교체했다. 새로 배정된 팀장과 수사관은 해당 사건의 명확한 진실 규명을 위해 철저한 수사를 진행 중이다.

또 경찰은 부실수사의 발단이 된 전 담당 경찰관들에 대한 자체 조사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CCTV 증거확보 실패한 책임 물어
강화된 지침 위반땐 징계도 고려중


경찰은 올해 정인이 사건과 민영이 사건 등 아동학대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내부 지침인 '아동학대 수사업무 지침'을 강화했다.

강화된 지침에는 '아동학대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아동학대 체크리스트·발생보고 등 초동조치를 철저히 할 것'과 '오인 및 경미한 신고라도 반드시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것', '물적·인적 학대 증거 수집을 철저히 할 것'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사건 초기 담당 수사관은 피해 아동 부모가 특정한 아동학대 의심 정황이 담긴 날짜에 대한 영상을 안일한 대처로 확보하지 못했고, 개인 사정으로 연차를 사용하며 부수사관 지정을 피해 아동 부모에게 안내하지 않는 등의 행위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지침 위반에 따른 징계는 불가피한 것으로 예측된다.

피해자 부모 주장 토대 판가름 계획
"수사력 집중… 재발방지 엄중조치"


경찰은 피해 아동 부모의 '증거인멸을 우려한 영상 확보 요청 묵살'과 '담당 수사관의 연차를 이유로 통화를 회피했다'는 주장을 토대로 사실 여부와 그에 따른 지침 위반 여부를 판가름할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아동학대 관련 수사에서는 CCTV뿐 아니라 피해자의 진술 등도 혐의를 입증하는데 중요한 만큼 삭제된 영상 복구는 물론 수사력을 집중해 한 점 의혹이 없도록 사건을 처리해 나갈 계획"이라며 "수사 초기 수사관들의 미흡했던 부분은 자체조사를 벌여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엄중 조치하겠다"고 약속했다.

/민웅기·김동필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