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의 급격한 인구 증가와 도시화를 고려해 위기청소년 쉼터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시의회에서 나왔다.
김포시의회 오강현(고촌읍·사우동·풍무동) 의원은 지난 16일 열린 제214회 정례회 5분자유발언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며 이 같은 의견을 제안했다.
먼저 그는 "김포시 인구 50만 명 중 청소년기본법상 청소년(만 9세~24세)은 8만1천66명"이라며 "도시 평균연령이 낮아 청소년 숫자가 점점 늘고, 이와 비례해 위기 가정 및 위기 청소년도 급속히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위기 청소년이란 사회의 적절한 개입 없이는 정상적 성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가출·폭력·약물·음주 등 각종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을 뜻한다. 김포경찰서에 따르면 김포지역 청소년 가출 건수는 지난해 187건에서 올해 현재까지 234건으로 증가했으며, 지난 한 해에만 10~20대 청소년 가운데 15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김포 평균연령 낮아 위기 가정·청소년 점점 늘어
인근 지자체 인계 거부하면 김포청소년 보호불가"
상담사 등 관계자 고용안정, 예산 지원 등도 요구
인근 지자체 인계 거부하면 김포청소년 보호불가"
상담사 등 관계자 고용안정, 예산 지원 등도 요구
이날 오강현 의원은 "최근 사례만 봐도 지난 9월 16일 김모(15) 학생이 경찰을 통해 고정형 쉼터인 부천일시청소년쉼터로 인계되고, 9월 17일 현모(16) 학생이 가정폭력 노출로 부천아동보호전문기관으로, 10월 12일 이모(14) 학생이 아동학대 징후로 부천일시청소년쉼터로 인계됐다"고 열거했다.
오 의원은 그러면서 김포지역 위기 청소년 보호를 위해 쉼터 확대와 인력 지원 등이 수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정례회를 앞두고 그는 김포시청소년재단 이동쉼터 운영현장을 수차례 동행해 관계자들의 격무를 체험했다.
오강현 의원은 "위기 청소년 긴급연계 사례 발생 시 김포에는 고정쉼터가 부재, 인근 부천·인천·고양으로 우선 연계하고 있으나 코로나19를 이유로 인계를 거부하는 경우 김포의 청소년은 보호를 못 받는다"며 "쉼터 입소가 진행된다 해도 등하교 불편 등 부수적 문제가 파생된다. 관내 그룹홈 등에서 도움을 주고 있으나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우리 아이들은 우리가 책임져야 하므로 김포 관내 고정형 쉼터가 시급하다"며 "45인승 버스 한 대로 고촌읍·사우동·구래동에서만 운영되는 이동쉼터도 풍무동·장기동 등지로 추가 배치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오 의원은 또한 "가출 청소년을 만나는 일을 수행하는 데 있어 잦은 상담사 변경은 업무에 차질이 빚어진다"며 "보조사업 인력의 정규직 전환과 추가 인력,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오강현 의원은 끝으로 "청소년의 위기는 우리 모두의 위기이며 김포의 위기다. 청소년이 병들면 김포의 미래를 기대할 수 없다"면서 적극적인 청소년정책을 집행부에 당부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