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2만명이 넘는 초·중·고 장애학생이 거주하고 있지만 특수학교·특수지도사 등이 부족해 장애학생의 교육권을 온전히 보장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22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2만3천276명의 초·중·고 장애학생이 있는데 비해 특수학교는 28개뿐이다. 특수학교가 적다 보니 거주지 근처의 특수학교에 아이를 보내지 못하거나 혹은 아예 입학조차 허용되지 않는 일도 발생한다.

남양주에 거주하는 A씨는 지난 17일 국민청원을 통해 자신의 아이 장애가 덜 심각하다는 이유로 특수학교에 입학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A씨의 아이는 특수학교 입학 정원을 중증 장애 순으로 선발해 정원인 12명 안에 들지 못했다.

 

중증도 따라 선발 입학 바늘구멍
교육현장 특수지도사 부족 호소
도교육청 "폐교 활용 등 고려중"


그는 "교육청에서는 부모님이 알아서 학교에 전화해 자리를 알아보고 특수지도사를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라고 한다"고 썼다.

도내 특수학교가 적다 보니 남양주처럼 특수학교가 1곳뿐이거나 아예 없는 지역도 있다. 특수학교는 1개 학급 정원이 6명으로 많은 아이들을 받을 수 없어 장애 중증도에 따라 입학이 허가된다.

지적장애 1급 아이를 키우는 전모씨는 "통합교육이라 해도 일반 학교로 갔다가 중학교 때 적응을 못하고 특수학교로 온 경우를 주변에서 많이 봤다"며 "지금 아이가 다니는 학교도 교실이 부족해 선생님들이 책상을 빼고 난리"라고 말했다.

학교 현장에서 장애학생을 돌보는 특수지도사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도내 특수지도사는 1천144명이고 보조인력인 사회복무요원은 1천300명이 근무하고 있다. 각 학교가 수요 조사를 통해 지역교육지원청에 신청하고, 지원청은 지도사를 학교에 배정하는 식이다.

전씨 아이가 다니는 학교의 경우, 특수학교 정원은 180명에 달하는데 특수지도사는 9명에 그쳤다. 그는 "얼마 없는 지도사도 거의 휠체어 타는 아이들 위주로 배정돼 학부모들이 불만이 많다. 연말이 되면 많이 배정해달라고 교육청을 찾아가고 부탁도 하는데 몇 년째 9명이 최대"라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 대해 경기도교육청은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도교육청 측은 "희망자에 비해 (특수학교)설립이 부족하지만, 지역주민들의 반대로 부지 선정이 쉽지 않다. 각 지역마다 폐교를 활용하는 등 학교를 늘리기 위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특수지도사를 보충해줬으면 한다는 현장의 의견을 받고 있다. 아예 전문적인 특수교사를 늘려달라는 의견도 있어 양쪽 의견을 수렴해 현장에서 학생을 지원할 정책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자현기자 nature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