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2301000880900041041

경인일보 인천본사 11월 지면을 평가하는 독자위원회가 서면으로 진행됐다.

신희식((사)아침을여는사람들 이사장) 독자위원장과 양진채(소설가)·이동익(민주노총 인천본부 조직국장)·홍지연(책방 산책 대표) 독자위원이 의견을 보내왔다.

신희식 독자위원장은 <다시 마주한 인천 과거사>(2·3일 1·3면) 기사를 훌륭한 기획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아직 명예가 회복되지 못했거나 수십 년 동안 고통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면서 "이들의 사회적 치유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진실화해위원회뿐 아니라 정부·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던진 훌륭한 기사였다.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것은 시민의 권리이며 의무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또 양진채 위원은 "조봉암 사건, 월미도 미군 폭격사건, 강화 등 민간인 희생 사건 등 진실화해위원회가 다룬 인천의 굵직한 사건과 아직도 묻혀있는 과거사,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 희생자 가족과 정근식 위원장 인터뷰까지, 알찬 기사였다"면서 "적어도 이 기사만큼은 모든 인천시민이 읽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기자를 칭찬하고 싶다"고 했다.

이동익 위원도 "과거 공권력에 의한 희생을 새롭게 조명하려는 정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노력도 중요하다. 의미있는 기사였다"고 말했다.

<통 큰 기사/불친절한 법원은 무죄일까>(29·30일 1·2·3면)도 호평받았다.

홍지연 위원은 "법률서비스 접근의 어려움을 세밀하게 잘 다뤘다"면서 "시민들에게 멀기만 한 법원의 문제점을 다양한 사례로 살피게 해준 기사였다"고 했다. 신 위원장은 "법원에 대해 국민들이 느끼고 있는 이질감을 잘 나타냈다"면서 "다만 인천고법유치운동과 관련한 인천 시민의 설움이 자세하게 다뤄지지 않아 아쉬웠다"고 했다.

비대면 문화에 장애인 어려움 짚어 '눈길'
진중권 강연 기사 특정 발언 집중 아쉬움
흉기난동 현장… '여경' 단어 제목 부적절


<비대면 문화 눈부신 기술 발전에… 더 커지는 시각장애인들 소외감>(4일 6면) 기사도 눈길을 끌었다.

이 위원은 "코로나19로 비대면 생활이 확산하면서 자칫 우리가 소홀하게 넘기며 지나칠 수 있는 장애인의 어려움을 짚어낸 의미있는 기사였다"고 말했고, 신 위원장은 "점자의 날을 맞아 장애인도 비장애인처럼 불편 없이 생활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임을 일깨워주는 좋은 기사였다"고 했다.

홍 위원은 <아동 급식카드로 갈 곳은 편의점… '삼각김밥' 가장 많이 사먹는다>(26일 4면) 기사를 눈여겨봤다. 그는 "아동급식카드 사용 가맹점 3천860곳 중 무려 2천600여 곳이 편의점이라는 통계가 놀라웠다"면서 "아이들 밥의 영양적인 요소는 기본, 정신·심리 건강도 꼼꼼히 챙기는 지방정부의 세심한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또 매립지사용 연장을 주장하는 신창현 수도권매립지 사장의 중앙일보 기고에 대해 반박하는 기자의 칼럼 <현장에서, 매립지공사 사장의 서울 일극주의 발상>도 독자위원의 좋은 평가를 받았고, 기획기사 <항만보안 이대로는 안된다>(16·17일 1·3면) 기사도 독자위원의 관심을 모았다.

아쉬운 기사도 많았다.

이 위원은 진중권 전 교수의 인천경영포럼 강연에 대해 "예고된 이날의 강연 주제는 '정치의 시대, 좋은 정치란 무엇인가'였는데, 이후 기사에서는 특정정당과 개인을 비판하는 것이 지면에서 주요하게 다뤄졌다"면서 "전체 강연보다 특정 발언에 집중하는 방식의 기사가 적절한지 진지하게 고민해볼 부분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인천시, 부평연안부두선 트램 추진>(5일 3면) 기사에 대해서 신 위원장은 "용역을 추진한다는 정보 제공을 넘어서 비판적인 관점이 없어 아쉬운 기사였다"고 말했다.

<흉기 난동 중 현장 벗어난 여경 논란… 인천경찰청장 "미흡한 대응에 사과">(19일 4면) 기사에 대해서는 '여경'이라는 단어를 제목에 포함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 위원은 "경찰의 부실 대응이 문제의 핵심이지, 경찰관의 성별이 여성이냐 남성이냐의 문제가 아니었다"며 "이러한 접근은 여경 무용론으로 확대하며 본질을 흐리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부천 종합운동장 역세권 개발 "절반 넘는 임대주택 문제 있다">(19일 2면) 기사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이 위원은 "기사 내용도 제목도, 중요한 주거복지정책 가운데 하나인 임대주택 공급이 어떤 문제가 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는 기사였다"면서 "일부 의원과 주민들의 주장이 과장된 듯 보인다"고 지적했다.

가구회사와 공기업, 유통업체 등 기사인지 광고인지 구분이 힘든 기사가 많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리/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