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은 31일 이슈브리프 제23호 '인천시 청년고용의 특징과 정책적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인천 지역 청년(19~39세)을 대상으로 고용 현황·특징을 분석하고 인천시 청년 고용사업과 연계해 필요한 정책을 제시했다.
지난해 인천 지역 청년 경제활동인구 현황을 살펴보면 5년 전인 2015년과 비교해 고용률은 낮아지고 실업률은 높아졌다. 지난해 기준, 인천 청년 실업률은 6.8%로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청년 고용률은 60.5%로 2015년보다 1.6%p 낮아졌으나 실업률은 6.8%로 5년 전보다 2.1%p 높아졌다. 인접 지역인 서울과 경기도는 2015년보다 고용률이 높아지고 실업률도 인천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1%p가량 오르는 데 그쳤다.
기간제 근로자로 일하는 인천 청년 노동자 비율도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2015년 인천 지역 청년의 기간제 근로자 비율은 9.5% 정도였으나 지난해에는 16.8%로 높아졌다.
특히 인천은 18시간 미만 일자리에서 기간제 노동자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기간제 노동자 비율은 5년 전과 비교해 전국이 1%p 높아졌으나 인천은 1.7%p 늘어났다. 시간제·기간제 노동으로 이중고를 겪는 노동자 비율이 전국 대비 인천에서 더 높아진 것이다.
시간제뿐만 아니라 정규직 노동자의 근로 시간과 동일하게 일하는 전일제 노동자도 근로시간 대비 평균 급여 수준이 서울·경기 등 수도권 다른 지역보다 낮았다.
인천연구원은 청년을 위한 안정적 고용 정책이 미비하다고 보고 이를 보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천시에서 청년 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목돈마련·복지지원 정책 외에 고용 안정을 담보할 세부적 사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청년의 장시간 근로와 저임금 노동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노동자를 보호할 환경을 마련하고 노동생산성을 증대하는 정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경기 지역 일자리를 공유하는 인천 지역 특성상 장시간 근로, 저임금 노동은 결국 청년이 다른 지역으로 이직·이사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인천연구원은 상대적으로 고용률이 낮은 30대 이상 청년들을 중심으로 한 세부 정책을 보완해야 한다고도 했다. 구직·취업을 원하는 청년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으나 인천시에서 운영하는 일자리 센터나 진로지도·상담 제도는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해서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연구진은 이 외에도 청년 고용 정책 대상 범위와 지원 정책 실증 연구, 산업별·연령별 핀셋 지원, 일자리 매칭 제도 보완, 노동자 삶의 질 개선 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