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수.jpg
김민수 지역사회부(가평)차장
제2경춘도로 건설, 공동형장사시설 건립, 쓰레기 처리 등은 가평 지역의 대표적 현안이다.

말 그대로 이전부터 의논해 오면서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문제나 의안이다. 수년간에 걸쳐 현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이들 사업은 현재도 여전히 지역의 핫이슈다. 지난 2019년 국가균형발전 예비타당성 면제사업으로 선정된 제2경춘도로 건설 사업은 노선(안)이 문제다. 국토교통부 노선(안)에 대해 가평 일각에서 이의 제기를 했다.

그러나 원주지방국토관리청 등은 최근 내년 상반기 착공, 공사 기간 단축 등을 위한 공사구간 4개 공구 분할, 입찰 방식 등 사업 계획을 속속 내놓고 있다. 가평의 현안이지만 국책 사업으로 정부 주도하에 있는 것이다.

반면 공동형 장사시설 건립 사업은 가평의 민관 등이 주체다.

그동안 장사시설 건립 공약, 공동형 장사시설건립사업 추진, 자문위원회 구성, 1·2차 공모, 주민제안사업 공모 등이 진행됐으나 2년여가 지난 지금까지 입지 선정을 못 하고 있다. 이 사업은 규모(단독형, 공동형) 및 입지에 대한 민관, 민민 등 지역 실천 주체들 간 갈등이 문제다.

이처럼 이 두 사업은 이해관계에 따라 찬반이 상충한다.

하지만 쓰레기 처리 문제는 이들 문제와는 사뭇 다르다. 어느 특정 부류가 아닌 가평 지역 모두의 현안이어서다.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종료, 군 매립시설 포화(93%) 등 가평의 현실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해있다. 이런 가운데 다행스럽게도 가평군이 최근 이 문제 등을 전담할 자원순환과 신설, 하루 70t 규모 소각장 설치 계획, 분리수거 철저 등 해결 방안을 내놨다.

소각장 입지 선정 등은 난제이지만 그렇다고 문제 풀이에 시간을 지체해서는 안 된다. 쓰레기는 지금 이 시각에도 쌓여가고 있기 때문이다. 현실을 직시한 군민들의 현명한 판단과 혜량을 기대해 본다.

/김민수 지역사회부(가평)차장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