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7.jpg

경인일보 인천본사 12월 지면을 평가하는 독자위원회가 서면으로 진행됐다.

신희식 ((사)아침을여는사람들 이사장) 독자위원장과 양진채(소설가)·이동익(민주노총 인천본부 조직국장)·홍지연(책방 산책 대표) 독자위원이 의견을 보내왔다. 이달 독자 위원들은 눈길을 끄는 기사가 많았다고 평가했다.

신희식 위원장은 <학과 개편도 소용없나… 인천 특성화고 신입생 전기 모집 '참패'>(13일 6면) 기사를 관심을 갖고 읽었다고 했다. 신 위원장은 "학부모의 일반계 선호현상과 교육 당국의 대책까지 소상하게 정리한 좋은 기사였다"면서 "후속 기사를 보고 싶다"고 말했다.

양진채 위원은 <우문국 화백 부인 망백의 최분순 여사가 75년 만에 부르는 '족청 단가'>(21일 1·3면) 기사를 보고 가슴이 뭉클했다고 말했다.

양 위원은 "특히 홈페이지에 동영상으로 게재된 최분순 여사의 육성은 노래 그 이상의 감동을 주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최분순 여사 자체가 아닌 '우문국 화백의 부인'이라는 소개가 적절했는지는 의문"이라며 "당당한 여성 자체로 주목받아야 하는데, '○○의 부인'은 부적절한 제목이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또 <'22명의 어린산타' 음악으로 서로 보듬다>(24일 1면) 기사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양 위원은 "신광초 어린이의 가슴 아픈 사고와 그 트라우마로 힘든 시기를 보낸 아이들이 서로를 보듬는 음악회의 아름다운 풍경을 잘 알린 기사였다"고 했다.

이동익 위원은 <"이주노동자 코로나 검사 행정명령 철회" 인권위 권고… 전국 지자체 수용>(1일 2면) 기사를 관심 있게 읽었다.

이 위원은 "이주노동자를 특정해 코로나19 검사를 받도록 한 조치가 외국인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확산하는 것이라며 인권위가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명령을 철회하라는 내용이었는데, 코로나19가 낳은 우리 사회의 민낯을 확인한 계기였다"고 말했다.

'고개 드는 강화 발전론' 기사 엇갈린 평가
'정부 코로나 방역 한계' 대안없어 아쉬움
'…주민생활 만족도 반등' 궁금증만 키워


<고개 드는 강화 발전론>(14~16일, 10면) 기사는 평가가 엇갈렸다.

신 위원장은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리는 강화의 열악한 현실과 각종 규제 등 현안을 깊이 살펴본 좋은 기사"라고 했다.

반면 양 위원은 "강화 특성이 섬 전체가 문화재나 다름없어 어려움이 있는 것은 알겠지만 '사람을 쫓아내는 규제'라는 표현이 동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문화재가 많아 어렵다는 것인지, 농어촌 규제가 많아 어려운 것인지 명확하지 않았다"면서 "또 고층 아파트를 짓고 인구가 늘어나는 것을 '발전'으로 보는 획일적인 시각도 아쉬웠다"고 했다.

아쉬운 점도 있었다.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한계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다룬 관련 기사나 사설 등이 아쉽다는 의견이 나왔다. 구체적인 대책은 제시하지 않고, 현상만 반복적으로 보도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이 위원은 "정부 방역에 대한 부정적 기사가 쏟아졌고, 중소영세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을 말하는 기사가 12월에 많았다. 하지만 정부에 구체적인 대책을 요구하거나 해법을 제시하는 기사는 상대적으로 부족해 보였다"면서 "모든 정부 정책이 올바른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제는 차분하게 문제의 핵심을 더 깊이 살펴 지적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기사를 위해 더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2일자 '데스크칼럼'<'나인투식스' 과연 행복한가>(19면)가 '주 52시간' 제도를 심각하게 왜곡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 52시간 제도의 핵심은 장시간 노동시간을 줄여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목표인데,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유연 노동 시간과는 별개의 사안"이라며 "주 52시간 제도를 비판하려면 이 제도의 목표와 방향을 먼저 살피고, 문제가 되는 부분에 대한 개선을 주장하는 것이 순서인데, 마치 주 52시간 제도가 모든 문제의 핵심인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심각한 왜곡"이라고 꼬집었다.

홍 위원은 <하위권 맴돌던 인천시 주민생활 만족도 '11월 중위권 반등'>(10일 1면) 기사가 아쉽다고 했다. 그는 "줄곧 하위권인 순위가 크게 올랐다는 기사였는데, 요인이 뭔지 궁금했다"면서 "저평가됐던 인천 지역 부동산의 가격 상승 등이 작용했다는 분석을 소개했는데, '생활 만족도' 조사에 부동산 가격이라는 지표가 얼마만큼 차지하는지 등 자세한 설명이 없어 아쉬웠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도 "관련 지표를 소개하는 등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면서 "독자에게 정보를 주지 못하고 오히려 궁금증만 키우는 기사였다"고 했다.

정리/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