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밤 수도권에 최대 7㎝ 적설이 예상된다. 눈은 31일 오후 9시께 시작돼 이튿날 오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강원 내륙과 산지 등에도 대설 특보가 발효될 것으로 보여 대비가 필요하다.
기상청은 30일 수시예보 브리핑을 열고 "짧은 시간이지만 강수 강도는 강한 눈이 내릴 것으로 보인다"며 "찬 공기가 한반도를 장악하는 2월1일 오후 눈이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지역별 예상 적설량은 ▲수도권, 강원 내륙 산지, 경북 북부, 서해5도, 울릉도, 독도 2~7㎝ ▲충청권(충북 제외) 1~5cm ▲전북·전남 북부, 경북 북부·서부 내륙, 경남 서부 내륙 1~3㎝ ▲전남 남부, 제주도 산지 0.1㎝ 미만 등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귀경 행렬이 본격화하는 1일 아침까지 눈이 많이 내리는 만큼 빙판길 교통 안전에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설 연휴 이후로도 당분간 추운 날씨가 지속 될 전망이다. 중부 내륙을 중심으로 아침 최저 기온이 영하 10도를 밑도는 등 평년보다 추운 날씨가 예상된다.
강원 내륙과 산지 등에도 대설 특보가 발효될 것으로 보여 대비가 필요하다.
기상청은 30일 수시예보 브리핑을 열고 "짧은 시간이지만 강수 강도는 강한 눈이 내릴 것으로 보인다"며 "찬 공기가 한반도를 장악하는 2월1일 오후 눈이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지역별 예상 적설량은 ▲수도권, 강원 내륙 산지, 경북 북부, 서해5도, 울릉도, 독도 2~7㎝ ▲충청권(충북 제외) 1~5cm ▲전북·전남 북부, 경북 북부·서부 내륙, 경남 서부 내륙 1~3㎝ ▲전남 남부, 제주도 산지 0.1㎝ 미만 등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귀경 행렬이 본격화하는 1일 아침까지 눈이 많이 내리는 만큼 빙판길 교통 안전에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설 연휴 이후로도 당분간 추운 날씨가 지속 될 전망이다. 중부 내륙을 중심으로 아침 최저 기온이 영하 10도를 밑도는 등 평년보다 추운 날씨가 예상된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