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4.jpg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은 9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남 승강기 노동자 추락사고는 발판, 안전고리, 승강로 등 안전시설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벌어진 사고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제공

 

판교 승강기 설치 공사 현장에서 노동자 2명이 추락사 (2월9일자 1면 보도=판교서 추락사 '중대재해처벌' 경기남부 첫 사례될까) 한 것을 두고 '열악한 작업 환경'이 참사를 불러왔다는 지적이 나왔다.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은 9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남 승강기 노동자 추락사고는 발판, 안전고리, 승강로 등 안전시설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벌어진 사고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규정 무색 길이 맞는 안전벨트 없어
다단계 하도급 구조 등 원인 힐난


마이크를 든 김훈 건설노조 경기도건설지부 노동안전위원은 "승강로에 들어갈 때 안전벨트를 체결하고 나와서 안전벨트를 풀어야 하는 게 (승강기 안전관리법)규정"이라며 "승강기 현장 특성상 안전벨트가 3~4m가 돼야 노동자가 오르내리며 할 수 있는데 제대로 된 안전벨트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2m 안전벨트를 멘 노동자가 일을 하려면 안전벨트를 풀 수 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무리한 공사기간 단축과 다단계 하도급 구조 속 노동자들의 안전 관련 요구가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은 원청업체인 요진건설산업에 대한 제대로 된 처벌을 촉구하기도 했다. 민주노총은 "요진건설산업은 시공능력평가 74위에 달하는 업체임에도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추락, 낙하 방지, 안전 난간 등이 부실한 업체로 꼽고 있다. 중대재해 기업인 요진건설산업 사업주를 처벌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