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 국회의원 재선거 판세가 집권여당인 민주당의 무공천으로 인해 국민의힘 김학용 후보의 독주체제로 흘러가고 있는 형국이다.
다만 범진보세력을 표방하는 상대 후보들이 조심스럽게 후보단일화를 통한 1대1 구도를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있어 막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오는 3월9일 대통령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안성 국회의원 재선거에는 국민의힘 김 후보와 정의당 이주현 후보, 무소속 이기영 후보 등 다자구도로 진행되고 있다.
당초 예비후보 등록을 한 국민의당 김영성 당원협의회장이 어떤 이유에선지 후보자 등록을 하지 않아 본 선거는 3파전으로 확정됐다.
지역정가에서는 보수 텃밭이었던 안성지역의 정치 환경이 촛불 정국 이후로 여·야간 팽팽한 구도로 변화됐으나 민주당이 귀책 사유를 이유로 후보를 내지 않아 국민의힘 후보가 무혈입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에서는 도의원 3선에 국회의원 3선을 내리 역임한 관록의 국민의힘 김 후보 당선을 확실시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국민의힘 김 후보는 지난 선거를 반면교사로 삼아 방심하지 않고, 이번 선거전에서 득표율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맞서는 범진보진영의 후보들은 각자 자신만의 강점을 내세워 민주당 공백으로 갈 길을 잃은 지역내 진보세력의 결집을 통해 역전을 노리면서도 내심 1대1 구도를 만들기 위한 범진보세력 단일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민주진보진영 대표를 표명한 정의당 이 후보는 수십년간 왕성한 시민사회활동을 통해 지역내 시민사회단체에서의 인지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올곧은 이미지'로도 정평이 나 있어서 이를 무기 삼아 이번 선거 승리를 위한 독자적인 행보를 걷고 있다.
정의당 이 후보는 "민주 시민들과 함께 안성의 진정한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또 이번 선거에서 범민주개혁 후보를 표방한 무소속 이 후보도 민주당 소속으로 시의원을 역임한 이력과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2018년 안성시장 선거와 2020년 안성시장 재선거를 통해 쌓아온 높은 인지도를 토대로 선거전에 뛰어 들었다.
무소속 이 후보는 지난 안성시장 재선거에서 무소속임에도 거대양당의 틈바구니에서 1만250표를 획득, 10.5%의 득표율을 기록한 저력이 있어 이번 선거에서도 만만치 않은 결과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의힘 김 후보에 맞서는 정의당 이 후보와 무소속 이 후보의 캠프에서는 3자 구도로는 승산이 높지 않은 것을 인지하고, 범진보세력 단일화 가능성에도 길을 열어 놓은 상태로 알려져 선거 막판 변수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
다만 범진보세력을 표방하는 상대 후보들이 조심스럽게 후보단일화를 통한 1대1 구도를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있어 막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오는 3월9일 대통령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안성 국회의원 재선거에는 국민의힘 김 후보와 정의당 이주현 후보, 무소속 이기영 후보 등 다자구도로 진행되고 있다.
당초 예비후보 등록을 한 국민의당 김영성 당원협의회장이 어떤 이유에선지 후보자 등록을 하지 않아 본 선거는 3파전으로 확정됐다.
지역정가에서는 보수 텃밭이었던 안성지역의 정치 환경이 촛불 정국 이후로 여·야간 팽팽한 구도로 변화됐으나 민주당이 귀책 사유를 이유로 후보를 내지 않아 국민의힘 후보가 무혈입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에서는 도의원 3선에 국회의원 3선을 내리 역임한 관록의 국민의힘 김 후보 당선을 확실시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국민의힘 김 후보는 지난 선거를 반면교사로 삼아 방심하지 않고, 이번 선거전에서 득표율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맞서는 범진보진영의 후보들은 각자 자신만의 강점을 내세워 민주당 공백으로 갈 길을 잃은 지역내 진보세력의 결집을 통해 역전을 노리면서도 내심 1대1 구도를 만들기 위한 범진보세력 단일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민주진보진영 대표를 표명한 정의당 이 후보는 수십년간 왕성한 시민사회활동을 통해 지역내 시민사회단체에서의 인지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올곧은 이미지'로도 정평이 나 있어서 이를 무기 삼아 이번 선거 승리를 위한 독자적인 행보를 걷고 있다.
정의당 이 후보는 "민주 시민들과 함께 안성의 진정한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또 이번 선거에서 범민주개혁 후보를 표방한 무소속 이 후보도 민주당 소속으로 시의원을 역임한 이력과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2018년 안성시장 선거와 2020년 안성시장 재선거를 통해 쌓아온 높은 인지도를 토대로 선거전에 뛰어 들었다.
무소속 이 후보는 지난 안성시장 재선거에서 무소속임에도 거대양당의 틈바구니에서 1만250표를 획득, 10.5%의 득표율을 기록한 저력이 있어 이번 선거에서도 만만치 않은 결과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의힘 김 후보에 맞서는 정의당 이 후보와 무소속 이 후보의 캠프에서는 3자 구도로는 승산이 높지 않은 것을 인지하고, 범진보세력 단일화 가능성에도 길을 열어 놓은 상태로 알려져 선거 막판 변수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