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보고 싶다면 경기도와 인천을 봐야 한다. 유수의 대기업과 산업단지가 경기도와 인천에 가장 많이 분포됐고 IT, 바이오 등 대한민국의 미래먹거리를 연구하고 생산하는 핵심기지 대부분도 경인지역에 있다.

특히 경기도는 인구 수, 지역내총생산(GRDP) 등 규모를 가늠하는 기준들에서 수도 서울을 제치고 전국 최대 규모다. 이제 '경기도가 하면 전국의 표준이 된다'는 경기도 슬로건처럼 그 어느 때보다 경기도는 전국민의 뜨거운 관심을 받는 지역이다.

그럼에도 경기도는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가장 우선으로 다뤄야 할 문제는 '교통'이다. 서울 등 주변 도시를 오가는 대중교통망뿐 아니라 경기도 내 도시를 잇는 교통망이 아직 부족하다. 특히 3기 신도시 등 경기도 곳곳에 대규모 개발사업이 예정되면서 향후 10년간 도내 신도시 교통수요가 또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지난해 10월 말 국토교통부도 '광역교통 2030'을 발표하고 향후 10년간 광역거점 간 통행시간 30분대로 단축,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 환승시간 30% 감소 등의 3대 목표를 실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기도 역시 용인플랫폼시티를 비롯해 시흥과 광명, 의왕, 군포, 안산, 화성진안, 화성봉담3, 남양주진건, 양주장흥 등 신규 택지개발 지역에 대해 대중교통 중심의 체계적인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수립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 대선 후보들도 저마다 경기도를 찾아 GTX, 수도권 광역버스 등 교통공약을 앞세우고 있지만, 실현 가능한 현실적인 대안이 절실하다는 게 경기도민들의 바람이다.

아울러 경기도 남부와 북부 지역 간 격차 해소방안도 눈여겨봐야 한다. 그간 군사접경지역이 대다수인 북부는 개발에서 소외돼왔고 인프라 구축도 쉽지 않았다.

이에 따른 북부 도민들의 박탈감이 커지면서 수년째 '경기도 분도론'이 거론되는 상황이다. 경기도 역시 '특별한 희생엔 특별한 보상을 줘야 한다'며 북부지역 개발에 관심을 쏟고 있지만, 안보 등 국가적 관점에서 아직 한계가 크다. 


곳곳 대규모 개발 '교통 수요' 급증
인천 '매립지 종료' 정부지원 필수


인천시의 경우 가장 대표적 현안은 '2025년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종료'다. 수도권매립지는 1992년부터 30여 년간 생쓰레기를 직매립하는 후진국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매립지 주변 폐기물처리업체의 난립과 악취·침출수 등의 문제로 인천시민들의 고통이 컸다.

인천시는 이런 피해를 종식하기 위해 '발생지 처리 원칙'을 강조하며 2025년 매립지 사용 종료를 선언했다. 또 선진국형 자원순환체계 도입을 추진 중이다. 매립지 종료를 위해선 서울과 경기의 동참과 정부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이현준·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2022022001000668300035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