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_1.jpg
코로나 19 장기화로 경기도민 10명 중 7명은 코로나 이전보다 스트레스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 제공


2년 넘게 이어지는 코로나 19 장기화로 경기도민 10명 중 7명은 코로나 이전보다 스트레스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8일 경기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 19 3년 차, 우리는 잘 적응하고 있나?'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이전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가 '높아졌다' 응답은 전체 72.7%로, '낮아졌다' 9.5%의 7.6배 이상에 달했다. 연령대별로 스트레스가 높아졌다고 응답한 수치는 40대 78.4%, 20대 76.4%, 30대 72.3%, 50대 70.3%, 60대 이상 64.7% 등이다.

스트레스 요인으로 살펴보면,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피로감(89.1%)과 사회 및 여가활동 제한(87.7%)을 가장 많았다. 이어 감염 두려움(79.6%), 방역 조치(77.6%), 백신 부작용 두려움(72.7%) 등도 나왔다.

경기硏, 설문 바탕 보고서 발간
피로감·여가 제한 등 원인 꼽아


스트레스가 높아졌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던 40대의 경우, 감염 두려움(86.6%), 백신 접종 부작용 두려움(77.5%), 가족 구성원 갈등(57.1%)의 요인이 전 세대에서 가장 높게 집계됐다. 60대 이상은 사회적 고립 및 외로움(74.3%), 경제활동 스트레스(71.3%)가 전 세대 중 가장 심각했다.

스트레스 요인 조사 시 성별 간 대부분 10%p 이내로 근사했지만, 백신 접종 부작용 두려움(남 66.0%, 여 79.7%)과 감염 두려움(남 73.2%, 여 86.3%)만 수치 차이가 컸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코로나에 따른 도민의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고려한 방역시스템 전환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