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피해를 가장 많이 본 분야 중 하나가 '문화예술'이다. 수많은 뮤지엄과 공연장들, 예술인들은 물론 이를 누리고 공유하던 국민들의 삶도 무기력해졌다. 그럼에도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저마다 앞세우고 있는 문화정책은 그다지 빛이 나지 않는 모양새다.
이제는 '문화자치'라는 용어가 핵심이 됐다. 중앙에서 일률적으로 내려보내던 문화정책의 시대는 사실상 저물었다.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고 주민들의 참여가 바탕이 되는 만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도 중요해졌다.
하지만 중앙정부가 마냥 손 놓고 있을 수 없는 부분이 바로 문화예술 정책의 확대를 위한 재원마련 부분이다. 인구 1천350만명을 훌쩍 넘긴 경기도의 경우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입되고 있으며, 각각의 상황과 여건이 다른 31개 기초지자체가 모여있다.
예술인 창작활동 지원과 복지가 화두였을 만큼 예술인의 수도 많다. 문화기반 시설과 문화 관련 조례·기관이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는 경기도는 문화 인프라 조성과 운영 등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하며 국가정책의 바로미터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원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 문화격차 커 소외지역 투자를
글로벌 OTT 급성장에 인프라 시급
인천 '을왕산 클러스터' 도움 절실
구도심과 신도시의 문화격차가 컸던 경기도는 현재 지역 문화재단이 22개까지 늘어나는 등 계속해서 이를 해소하는 과정에 있지만, 도내 11개 중첩규제 지역 등은 문화에 대한 갈증이 여전하다. 이러한 소외지역에 대한 전략적 투자는 국가 차원에서도 반드시 이뤄져야 하는 부분이다.
인천시의 경우에는 이번 대선을 앞두고 만든 '2022 인천공약 20선'을 보면 현안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영상산업 활성화를 위한 '을왕산 영상클러스터 조성 지원' 항목이다. 영상클러스터를 조성하려면 중앙 정부의 도움이 꼭 필요하다는 것이 인천시의 입장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중구 을왕동 산 일대에 80만7천733㎡에 이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글로벌 영상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글로벌 OTT 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영상산업도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이 같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프라가 필요할 것이란 판단이다.
인천에는 영상촬영이 가능한 전문 스튜디오가 없는데, 인천은 코로나19를 겪으며 지역 내 영상 촬영 실적이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30% 가까이 급감하는 것을 경험했다. 반면 전문 스튜디오를 갖춘 전주와 부산, 대전 등은 오히려 확산 이전과 비교해 두 배 가까운 성장을 보여 대조가 됐다.
/김성호·구민주기자 ksh96@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