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1.jpg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감각장애인 선거공약연대 출범 기자회견'에서 수어통역사가 여야 대선 후보들의 장애인 공약 수립과 이행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수어로 통역하고 있다. 2021.11.24 /연합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청각장애인의 참정권 보호를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실시간 영상수어통화 서비스를 도입했지만, 청각장애 유권자에 비해 통역사 인력이 한참 부족해 여전히 투표 환경이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전투표에만 일부 투표소에 수어통역사를 배치하고 투표 당일에는 현장 영상통화로만 청각장애인의 투표를 돕게 되는데, 영상통화 수어통역사 1명당 2천명 가까이를 담당해야 해 서비스가 아예 마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선관위, 메신저 앱 영상통화 도입
한정된 시간내 진행 차질 우려도
본투표 현장 배치 통역사는 없어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대 대선 투표에 참여하는 청각장애인 39만명을 돕기 위해 도입한 영상통화 수어통역 서비스에 수어통역사 200명이 투입될 예정이다. 영상통화 수어통역은 청각장애인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인 IMO를 이용해 투표소에 붙은 번호로 연락하면 선관위가 고용한 수어통역사가 실시간으로 청각장애인의 투표를 돕게 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한정된 투표 시간 내에 수어통역사 1명이 청각장애인 1천950명의 투표를 도와야 할 만큼 부담이 커 투표 진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서비스가 처음 도입된 지난 2020년 21대 국회의원선거때는 투표소 현장에도 400명의 수어통역사들이 배치된 반면 이번 대선은 사전투표에만 전국적으로 30여명 정도만 수어통역사가 현장에 배치되고, 본투표는 현장 수어통역사 없이 영상통화에만 의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d2.jpg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감각장애인 선거공약연대 출범 기자회견에서 수어통역사가 여야 대선 후보들의 장애인 공약 수립과 이행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수어로 통역하고 있다. 2021.11.24 /연합뉴스

경기도 청각장애 유권자 8만1천명
'통역사 32명 배치' 추가 계획 없어


최용기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대표는 "물론 모든 청각장애인이 수어통역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장에 수어통역사가 없이 영상통화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자칫 특정 시간대에는 이용이 몰려 서비스가 마비되는 등 청각장애인들이 불편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서비스에 시·도별로 배치한 인원도 다른데, 경기도는 청각장애 유권자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8만1천명에 달하는 반면 수어통역사는 32명이 배치돼 1명당 2천531명이 담당해 전국 평균보다 인력 부담이 훨씬 큰 상황이다.

이러한 지적에도 선관위는 사전투표와 본투표로 유권자가 분산돼 인력 감당이 가능해 추가 수어통역사 배치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코로나19 감염 우려와 투표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해 전면 영상통화 수어통역을 지원하기로 했다"며 "배정된 인원으로 투표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