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당선자는 오는 5월 10일 0시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한다. 임기는 5년으로, 2027년 5월 9일 밤 12시까지다.
당선자는 취임과 동시에 우리 사회가 직면한 위기 해결이라는 책무를 맡게 된다.
연일 계속되는 코로나19 확진자 확산에 따른 경제위기를 극복하는데 역량을 집중함은 물론 정권교체 여론의 불씨가 된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총력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신냉전 시대에 우리나라가 나아갈 외교 방향을 정립하고, 계층·세대별 등으로 확연히 갈라진 우리 사회의 분열을 통합의 길로 이끌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된다.
코로나·부동산·신냉전·분열 등 대책 마련
2~3주내 인수위 꾸려 정부 조직·예산 파악
인수위원장, 국정철학 상징성 초미의 관심
이 같은 차기 정부 5년의 밑그림은 10년 만에 다시 꾸려지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그려 나간다.
인수위는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한시 조직으로 위원장 1명, 부위원장 1명 및 24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인수위는 당선자와 함께 정부의 조직·기능 및 예산현황에 관한 파악을 통해 국정 운영 방향을 설계하고, 국무총리와 국무위원 인선 등을 논의한다.
역대 인수위 구성을 감안할 때 당선자의 인수위 역시 앞으로 2~3주 이내에 꾸려질 가능성이 크다.
역대 정부의 인수위 규모를 보면 노무현 정부 인수위는 240여명, 이명박·박근혜 정부 인수위는 각각 180여명, 150여명으로 꾸려졌다. 문재인 정부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사태로 바로 임기에 돌입해 인수위를 꾸리지는 못했다. 다만, 100여명으로 이뤄진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인수위 역할을 대신했다.
당선자가 임명하는 인수위원장을 누가 맡게 될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인수위원장은 새 정부의 국정철학을 반영할 수 있는 인물이 등용된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앞서 노무현 정부는 임채정 당시 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이명박 정부는 CEO 출신의 이경숙 전 숙명여대 총장, 박근혜 정부는 김용준 전 헌법재판소장이 임명된 바 있다.
/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