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fs.jpg
선거 때만 되면 나타나는 현상, 조직선거. 이번 대선에서 조직선거가 무너졌다. 아니 깨졌다. 대선결과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을 둔 지방자치단체장 대다수는 정책제안이라는 명목하에 SNS를 개설, 시민들과 소통해왔다. 이는 조직선거의 기초라 말할 수 있다.

실제 경기도내 한 시·군의 A지자체장이 개설한 정책제안방은 같은 당 소속 대선 후보의 공보물로 도배가 되다시피 했다. 본인이 올린 것은 아니지만 당원이 올린 게시물이었다.

하지만 해당 공보물은 삭제되지 않고 가입자들에게 퍼져나갔다.

일부 시민들은 정책제안방이 퇴색됐다며 항의하는 목소리를 냈지만, 소용없었다. 새벽에도 특정 후보의 정책 공보물 게재를 알리는 알림음이 울려댔다. 정책제안방의 주인인 A지자체장은 모르쇠로 일관했다. 그렇게 인터넷 공간에서의 대선은 한쪽으로 기울었다.

사전투표 또한 이들에겐 경쟁이 됐다. 많이 해야 유리하다는 논리였고, 독려했다. 20대 대선 사전투표율도 19대 대선 26.06%보다 높은 36.93%를 기록, 특정 후보가 유리한 듯 흘러갔다.

이 수치 또한 정책제안방에 도배됐다. 승리를 자축이라도 하듯 타 정당의 후보를 비난까지 했다. 그래도 정책제안 방의 주인은 모르쇠 했다.

그러나 대선 결과는 이들의 예측과 달리 개표율이 51%쯤 되는 순간부터 상황이 달라졌다. 사전투표 개표가 끝나고 본 투표가 시작되면서 상황은 역전됐다.

0.8%P 근소한 차이로 결과가 뒤집어졌다.

정책제안방에서는 그 결과에 대해 폐인의 원인이 무엇일까하는 고민보다는 최악의 후보를 당선시킨 지금의 현실이 안타깝다고 위로했다.

이들의 행위를 좋게 평가할 수 없다. 사실상 특정 후보를 위해 아니, 대통령 선거 승리를 위해 정책제안방이라는 소통공간을 선거유세장으로 활용한 것으로 분명 잘못된 처사다.

오는 6월1일 자치단체장을 뽑는 지방선거가 있다.

이들은 더욱 더 교묘하게 조직선거에 나설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조직선거를 좋게만 바라보는 사람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정책제안방은 말 그대로 지역 시민들이 불편한 사항을 신고하고 제안하는 공간이다. 선거유세장으로 변질된 정책제안방이 과연 선거에 도움이 되겠는가.

/지역자치부 시흥 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