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입자가 290만명 넘게 몰리는 등 청년희망적금에 쏠렸던 청년들의 시선(3월7일 인터넷 보도='연 10%대 이자' 청년희망적금, 290만명 몰려… 예상보다 8배)이 윤석열 당선인의 공약인 청년도약계좌로 옮겨가고 있다. 특히 윤 당선인 측이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겠다고 밝히면서 주목도가 더욱 높아지는 추세다.
청년들은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도 10년 가입 조건에 의견이 엇갈리는 모습이다.
청년도약계좌는 윤 당선인의 청년 공약 중 하나다.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이 매달 70만원 한도 내에서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10만~40만원씩을 보태 10년 만기로 1억원을 만들어주는 정책이다.
최근 큰 관심을 끌었던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하다. 청년희망적금 역시 만 19~34세 청년이 대상인데 매달 50만원씩 2년간 납입하면 최대 36만원의 저축 장려금이 지원되고 이자소득세와 농어촌특별세도 과세하지 않는다. 여러 비과세 혜택을 감안하면 금리는 최대 연 10%대에 이르러서 가입자가 290만명을 넘길 정도로 흥행했다.
앞서 경기도가 시행해온 '일하는 청년 통장(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과도 유사한데, 경기도는 중위소득 100% 이하인 만 19~34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매달 10만원씩을 저축하면 도가 동일한 금액을 매달 추가 적립해주는 금융 지원책을 남경필 전 도지사 재임 당시부터 실시해왔다.
만 19~34세 매달 70만원 이내 저축시 정부 지원 10년 만기 1억원 환급
소득 가입기준 없이 '차등 혜택'… 전환 방안 검토 계획 '높은 주목도'
다만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간 가장 큰 차이는 소득 수준으로 가입 여부를 결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청년희망적금은 연간 총 급여가 3천600만원(종합소득금액 2천600만원) 이하여야만 가입할 수 있었지만, 청년도약계좌는 모두 가입할 수 있지만 소득 수준에 따라 혜택에 차등을 준다는 계획이다.
이를테면 연 소득 2천400만원 이하인 청년은 매달 3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40만원을 지원하고, 연 소득 4천800만원을 초과하는 청년은 가입자가 70만원 전액을 납입하는 대신 일부 비과세 혜택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총 급여가 3천600만원 이상이어서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지 못했던 청년들이 반색하는 모습이다. 여기에 지난 11일 당선인 측이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게끔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하면서 관심도가 한층 더 높아졌다.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 열풍에 정부는 오는 7월 상품 가입을 추가로 진행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했었는데, 그 대신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추진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선인의 공약 실현을 위한 대규모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어느 정도로 재정이 확보될지가 관건이다.
한편 청년 직장인들의 반응은 엇갈리는 추세다. "청년희망저축은 가입 못 해도 크게 아쉽지 않았는데 이건 4천800만원 넘어도 비과세 혜택이라도 받는다니 가입해야 할 것 같다" "10년은 너무 긴 것 아닌가"라는 반응들을 온라인 상에서 쉽게 볼 수 있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