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시청 공무원노조가 대선 과정에서 불거진 선관위의 운영 미숙을 성토하며 지방직 공무원들을 하급자로 여기지 말라고 항의했다.
공무원노조는 14일 선관위를 향한 성명을 통해 "선관위의 무사안일과 무책임함, 아직 사과 한마디 없는 뻔뻔함을 보면서 배신감을 느낀다"며 상황에 따라 선거사무를 거부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천명했다.
이들은 "법원도 공무원들의 선거 지원업무는 동의에 기초한 일종의 근로계약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며 "선거사무가 지방직 공무원들의 고유업무냐"고 반문했다.
공무원노조는 14일 선관위를 향한 성명을 통해 "선관위의 무사안일과 무책임함, 아직 사과 한마디 없는 뻔뻔함을 보면서 배신감을 느낀다"며 상황에 따라 선거사무를 거부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천명했다.
이들은 "법원도 공무원들의 선거 지원업무는 동의에 기초한 일종의 근로계약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며 "선거사무가 지방직 공무원들의 고유업무냐"고 반문했다.
김포시청 공무원노조 성명서
업무 분담·비용 지급 등 요구
"미수용시 근무 지원 없을 것"
그러면서 "사전투표는 충분히 예견된 문제였음에도 우리 노조와 상의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지방직 공무원들에게 책임을 전가했다"며 "지방직 공무원들은 지금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각종 대책의 최일선에서 온몸으로 막아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방직 공무원들이 선관위의 '욕받이'로 전락했다고 지적한 이들은 선거사무를 교육지원청·공공기업 직원과 분담케 할 것, 현실적인 비용을 지급할 것, 투표소 설치·철거 및 공보물 분류·발송 등을 용역으로 처리할 것, 선거사무원의 안전대책을 강화할 것 등을 촉구했다.
끝으로 공무원노조는 "(선관위의)협조자가 아닌 하급자 대우를 받은 김포시청 공무원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라"며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더는 선거사무에 지원하지 않을 것을 결의한다"고 경고했다.
업무 분담·비용 지급 등 요구
"미수용시 근무 지원 없을 것"
그러면서 "사전투표는 충분히 예견된 문제였음에도 우리 노조와 상의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지방직 공무원들에게 책임을 전가했다"며 "지방직 공무원들은 지금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각종 대책의 최일선에서 온몸으로 막아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방직 공무원들이 선관위의 '욕받이'로 전락했다고 지적한 이들은 선거사무를 교육지원청·공공기업 직원과 분담케 할 것, 현실적인 비용을 지급할 것, 투표소 설치·철거 및 공보물 분류·발송 등을 용역으로 처리할 것, 선거사무원의 안전대책을 강화할 것 등을 촉구했다.
끝으로 공무원노조는 "(선관위의)협조자가 아닌 하급자 대우를 받은 김포시청 공무원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라"며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더는 선거사무에 지원하지 않을 것을 결의한다"고 경고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