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는 이른 봄에 피는 꽃이다. 내가 사는 동네 아파트 화단에도 산수유와 매화 꽃봉오리가 점점이 맺히기 시작했다. 매화는 사군자 중에서도 제일 먼저 거론될 만큼 문인들의 사랑을 독차지했거니와,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이야말로 최고의 매화 애호가 가운데 한 분이었다. 임종 순간 제자들에게 마지막으로 남긴 말씀도 "매화나무에 물 줘라"였을 정도다. 죽음 앞에서도 의연했던 정신적 깊이도 대단하지만, 매화사랑이 지극했음을 알 수 있다.
매화는 꽃받침 색깔에 따라 청매(靑梅), 홍매(紅梅)로 구분한다. 이뿐 아니다. 매화는 불리는 이름도 다양하다. 추운 날씨에 피면 동매(冬梅), 매화가 이미 피었는데 눈이 내리면 설중매(雪中梅), 밝은 달에 보는 매화를 월매(月梅), 매화가 옥같이 고우면 옥매(玉梅), 그 향기만을 따지면 매향(梅香), 이른 봄 매화꽃을 찾아나서는 것을 심매(尋梅) 또는 탐매(探梅)라 했다.
매화가 등장하는 시 가운데 상촌 신흠(1566~1628)의 칠언시가 유명하다. "오동나무는 천년이 지나도 아름다운 곡조를 가지고 있고(桐千年老恒藏曲), 매화는 아무리 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梅一生寒不賣香),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본질은 그대로 남아있고(月到千虧餘本質), 버드나무는 백번을 꺾여도 또 새 가지를 낸다(柳經百別又新枝)." 매화 향기가 가득하여도 불의와 타협하지 않겠다는 조선 선비의 부드러운 결기를 느낄 수 있다. 현대시로는 "지금 눈이 내리고/매화향기 홀로 아득하니/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는 비타협적 저항시인 이육사의 '광야'의 일구를 첫 손에 꼽고 싶다.
올해는 어인 일인지 매화 소식을 알리는 뉴스가 없다. 화마가 동해안 지역을 휩쓸다시피 한 산불 피해에다 오미크론의 대유행에, 얼마 지나지 않은 대선의 여파가 그대로 남아 있어서 일 것이다.
16일로 예정됐던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회동이 결국 불발됐다. 양측 모두 자세한 이유를 밝히지 않고 있으나 선거로 갈라진 국민의 마음을 추슬러야 할 상황에서 신구 정권의 불협화음은 바람직하지 않다. 진정성 있는 협치로 국민통합에 힘쓰고, 혹 있을지 모를 경제난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 한국 정치가 매화의 개화만큼 반가운 봄소식을 조속히 전해주었으면 좋겠다.
/조성면 객원논설위원·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