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년 동안 7차례 치러진 지방선거는 '50대 이상 남성'이 점령했다.
주요 정당들은 선거 때마다 청년·여성 공천 가산점을 내걸지만, 이들이 판세를 주도하거나 승기를 잡은 경우는 전무하다. 게다가 청년·여성 후보조차 가산점만으로는 인지도 차이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목소리여서 공허한 메아리로 그칠 가능성이 높다.
1995년부터 2018년까지 지방선거가 7번 치러질 동안 '여성' 또는 '40세 미만' 경기도지사가 선출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도지사 선출 당시 40대였던 경우는 임창열(1995), 남경필(2014) 전 지사가 각각 46세, 49세에 선출됐고 그 외에는 모두 '50대 남성'이었다.
도내 기초단체장 중 여성은 3명이었다. 1995년 전재희 광명시장, 2014년 신계용 과천시장, 2018년 은수미 성남시장이다. 40세 미만 기초단체장은 딱 1명이다. 1995년 당시 38세 나이로 김포군수(현 김포시장)에 당선된 유정복 전 군수다.
그 외에는 모두 남성, 상당수가 50세 이상에 속했다. 50대 이상 남성들이 주류인 정치판에서 청년과 여성이 설 자리는 찾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최근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는 '공천 할당제'를 비례 의석뿐 아니라, 지역구 의석에도 의무화하고 공천 시 특정 성별이 전체 후보의 6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국회에 권고했다.
또한, 인권위는 지방자치단체장 후보 공천에서 여성 후보 공천율이 매우 낮다고 지적하면서 공천 할당제를 지자체장 선거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정의 '공천 혜택' 국힘 '검토'
그럼에도 '인지도 경쟁' 밀려 불리
이처럼 청년·여성 정치인이 설 자리가 없는 문제는 정치권도 이미 인식하고 있다. 주요 정당들은 선거철마다 청년·여성 공천 가산점을 내거는데, 이번 지방선거도 마찬가지다.
더불어민주당은 청년(만 45세 이하)과 여성에게 최대 20% 이내의 가산점, 정의당은 청년(만 35세 이하)에게 최대 60%, 여성은 지역 후보 30%, 비례대표 50%로 할당할 계획이다. 국민의힘도 청년·여성에 대한 가산점 등 지침 마련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정작 가산점 대상인 후보자들은 10~20% 가산점으로는 당원 투표와 여론조사에서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높고 유리한 위치에 있는 이들을 역전할 수 없다는 목소리다.
도내 기초단체장에 출마한 청년 후보는 "청년과 여성은 선거에서 약자라 생각한다"며 "재선, 3선 이상을 한 기성 정치인들과 경쟁해야 하는데, 예비후보가 5명 이상 넘어가면 어쩔 수 없이 인지도 경쟁으로 흘러가 불리함을 극복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신현정·고건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