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일보는 지난 2월 지면을 평가하는 독자위원회를 비대면으로 진행했다.
김민준(청년정의당 경기도당 운영위원), 유혜련(법무법인 정직 변호사), 황의갑(경기대학교 교수), 조용준(수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 위원이 참여했다.
치매국가책임제 지역사회 관심 중요성 부각
경제활동인구 주목 지방소멸 예방책 제시
'중대재해처벌법 1호' 해당여부 과한 집중
위원들은 지역 내 소식을 다룬 기획기사를 높이 평가했다.
유혜련 위원은 <[통큰 기획] 욘사마 코인 '퀸비' 왜 쓰레기가 됐나>(2월 23~24일자 1·3면 보도)를 언급하며 "최근 가열되는 가상자산 투자 위험성을 강조하며 독자들의 경각심을 제고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사"라고 했다.
황의갑 위원도 같은 기사를 두고 "가상 자산 투자 열풍 속 개미 투자자를 노린 코인 범죄가 진화하고 있다는 위험성을 시의적절하게 다뤘다"며 "정부는 가상자산 거래를 제도권 안으로 들일 계획이 불투명하여 애꿎은 투자자 피해만 커지고 있는 실상을 잘 짚어냈다"고 평가했다.
황 위원은 "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거래소만 가진 독점적 지위로 인해 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까지 심도 있게 취재한 기획기사"라고 치켜세웠다.
위원들은 <[경인 WIDE] '스포츠 혁신안' 3년…학교체육 현장은>(2월 14일자 1·3면 보도)에 대한 호평을 이어갔다.
유혜련 위원은 "엘리트 중심 학교 체육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상기시키고 문제 해결을 위해 마련한 스포츠 혁신안에 따른 진통을 보도하면서 선수들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요구하는 기사였다"고 긍정 평가를 했다.
김민준 위원도 "학생 선수 역시 '학생'이라는 점에 착안해 그들의 학습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원칙이 현장에서는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는 점을 지적해 인상깊었다"며 "스포츠 혁신위가 내놓은 권고안이 오히려 학생 선수들의 운동 여건을 위축시키고 있다는 현장 목소리를 경청해야 함을 알려준 사례"라고 했다.
치매 환자를 돌보기 위한 지역 사회 역할론을 다룬 <[경인 WIDE] 정부 '치매국가책임제 5년' 현주소> (2월 21일자 1·3면 보도)를 두고도 긍정 평가가 쏟아졌다.
황의갑 위원은 "치매 친화적인 지역 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짚어줬다"며 "치매국가책임제가 지역사회의 따뜻한 관심 없이는 뿌리 내리기 어려운 현실을 잘 보여주는 기사"라고 했다. 이어 "시민들에게는 치매 환자에 대한 관심을, 국가에는 지역 사회 중심의 정책을 환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민준 위원도 "치매 환자에게 시민들이 관심을 보여야 더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 잘 전달됐다"고 짚었다. 김 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해 관련 사업이 중단됐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다"면서 "지역 사회 내부에서 연대할 수 있는 복지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걸 보여준 사례"라고 말했다.
<[FOCUS 경기] 지방소멸 패러다임 '정주인구' 아닌 '경제활동인구'로 바꾸다> (2월 28일자 10면 보도)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조용준 위원은 "여주시 사례를 통해 인구 소멸이 먼 지방 이야기만이 아님을 경고했고 정주인구보다 경제활동인구를 주목해 지방 소멸을 막을 대안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황의갑 위원도 "인구 감소로 지방 소멸에 대한 위기의식이 높은 상황에서 여주시 등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대안을 내놨다"고 설명했다.
다만 보다 다각화된 시선을 담아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조용준 위원은 <[경인 WIDE] '빛 좋은 개살구' 전통시장 스마트화 사업> (2월 28일자 1·3면 보도) 보도에 대해 "전통 시장 현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상인들의 모습을 다룬다는 취지는 좋았으나 스마트화 사업이 도입되지 않은 전통시장 상인들과 비교해 함께 다뤄줬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짚었다.
유혜련 위원은 <양주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 사망… 중대재해처벌법 '1호' 되나>(2월 3일자 2면 보도)를 두고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가 보도되는 것은 바람직하나 사고가 중대재해처벌법 '1호'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지나치게 집중되는 것 같아 아쉬웠다"고 말했다.
정리/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