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1.jpg
광교 경기도청 신청사. /경인일보DB

장애인의무고용 미이행과 장학생 선발과정 차별 등 경기도 기관의 인권 침해 및 차별 행위를 발굴, 개선한 성과를 올린 '경기도 인권모니터단'이 올해 대폭 확대돼 인권문제 개선에 적극 나선다.

25일 경기도는 올해 경기도 인권모니터단을 기존 29명에서 478명으로 확대하고 3월부터 본격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장애인의무고용 미이행 기관 시정조치 등 성과
조례 개정에 힘입어 우수 단원에겐 인센티브도


2020년 11월에 출범해 올해로 2년차에 접어든 경기도 인권모니터단은 도내 공공기관,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권침해와 차별행위를 제보하고 인권정책 및 제도 등의 개선사항을 제안하기도 한다. 또 도의 인권정책 수립에 직접 참여하거나 홍보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지난해 인권모니터단의 활동을 통해 크고 작은 성과도 올렸다. 도민인권모니터단으로 활동 중인 이재원 한국인권진흥원 원장은 지난해 9월 도 산하 공공기관의 장애인 의무 고용률 미이행이 차별행위라고 제보해 경기인권센터가 직권으로 도 산하 공공기관 6곳을 조사해 이 중 5곳에 대해 '부당한 차별행위'라고 시정조치를 내렸다. 또 같은 해 10월엔 A 장학회가 매년 실시하는 장학생 선발과정에서 방송통신대와 사이버대 등 원격대학을 제외한 것이 차별행위라는 제보를 받아들여 A장학회 스스로 선정대상을 확대하기로 개선조치를 마련했다.

올해는 인권문제에 관심과 전문성을 가진 이들을 대상으로 공개모집과 추천을 진행했고 이 결과 도민 321명, 도와 시·군 인권업무 담당 공무원 88명, 도와 시·군 산하 공공기관 직원 69명을 모니터단으로 구성했다.

더불어 지난해 7월 인권모니터단의 구성과 운영 근거가 신설된 도 인권조례가 개정된만큼 올해부터 도민이 보다 적극적으로 주도하는 인권개선 활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성을 높이고 모니터링의 활성화를 위해 역량강화교유고가 함께 우수 단원에겐 도민인권배심회의, 인권영향평가, 경기도인권헌장제정회의 등 도 주관 인권정책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기회를 부여한다. 또 우수 활동 개인과 단체에는 도지사 표창과 소정의 경기지역화폐를 인센티브로 제공할 방침이다.

김장현 도 인권담당관은 "민관협력 차원에서 구성된 인권모니터단은 경기도 인권 행정의 중요한 동반자로서 공고한 협력을 바탕으로 모두의 인권이 존중받는 세상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