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광릉숲을 보전하기 위해 경기도가 올해부터 2026년까지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을 수립했다.
25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진행된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인간-생물권이 조화를 이룬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목표 삼았다.
25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진행된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인간-생물권이 조화를 이룬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목표 삼았다.
멸종위기종 복원, 외래생물종 퇴치, 둘레길탐방로정비등 각종 사업
2026년까지 관리계획 수립… 도민 생태교육프로그램도 개설예정
이를 토대로 자연자원 보전, 자연자원 활용·발전, 지역경제 활성화, 생물권보전지역 관리센터 운영·관리, 교육·홍보 및 주민역량 강화 등 5대 전략을 도출했다.
2010년 22차 유네스코 MAB 총회에서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광릉숲은 2만4천465㏊ 면적에 남양주, 의정부, 포천시에 걸쳐 있다. 기능에 따라 핵심, 완충, 협력 구역으로 구분된다. 지난해 9월 나이지리아 아부자에서 열린 제33차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조정이사회(MAB-ICC) 회의에서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의 '정기보고서'가 채택되며 '생물권보전지역'이라는 국제적 지위를 유지한 바 있다.
이번 관리계획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조정이사회의 권고사항인 '지방정부 간 협력 증진 및 생물권보전지역 활성화'의 구체적 실천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2026년까지 19개 세부 사업을 설정해 시행에 들어간다. 장수하늘소, 광릉요강꽃 등 멸종 위기종의 복원, 외래 생물종 퇴치, 둘레길 탐방로 정비, 주차장 신설 및 환경개선, 차 없는 거리 조성, 야생화 재배 기술 지원, 주민공동체 지원사업 등이다.
특히 올해부터 국립수목원과 함께 주민 활동가 양성 및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어린이 생태교육 프로그램도 개설할 계획이다.
또 지난해 11월 전면개정된 '경기도 생물권보전지역 관리 조례'에 따라 도내 생물권보전지역의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관련 지자체 간 협력과 국내외 생물권 보전지역 네트워크 활동 등 생물권 보전지역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데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성규 도 산림과장은 "이번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수립을 계기로 광릉숲의 우수한 생태자원을 보전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힘쓸 것"이라며 "계획이 체계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토대로 자연자원 보전, 자연자원 활용·발전, 지역경제 활성화, 생물권보전지역 관리센터 운영·관리, 교육·홍보 및 주민역량 강화 등 5대 전략을 도출했다.
2010년 22차 유네스코 MAB 총회에서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광릉숲은 2만4천465㏊ 면적에 남양주, 의정부, 포천시에 걸쳐 있다. 기능에 따라 핵심, 완충, 협력 구역으로 구분된다. 지난해 9월 나이지리아 아부자에서 열린 제33차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조정이사회(MAB-ICC) 회의에서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의 '정기보고서'가 채택되며 '생물권보전지역'이라는 국제적 지위를 유지한 바 있다.
이번 관리계획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조정이사회의 권고사항인 '지방정부 간 협력 증진 및 생물권보전지역 활성화'의 구체적 실천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2026년까지 19개 세부 사업을 설정해 시행에 들어간다. 장수하늘소, 광릉요강꽃 등 멸종 위기종의 복원, 외래 생물종 퇴치, 둘레길 탐방로 정비, 주차장 신설 및 환경개선, 차 없는 거리 조성, 야생화 재배 기술 지원, 주민공동체 지원사업 등이다.
특히 올해부터 국립수목원과 함께 주민 활동가 양성 및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어린이 생태교육 프로그램도 개설할 계획이다.
또 지난해 11월 전면개정된 '경기도 생물권보전지역 관리 조례'에 따라 도내 생물권보전지역의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관련 지자체 간 협력과 국내외 생물권 보전지역 네트워크 활동 등 생물권 보전지역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데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성규 도 산림과장은 "이번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수립을 계기로 광릉숲의 우수한 생태자원을 보전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힘쓸 것"이라며 "계획이 체계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