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_-_오늘의창.jpg
김성호 인천본사 문체레저부 차장
지난주 미술작품 전시가 열리는 작은 갤러리 두 곳을 찾아갔다. 그곳에서 반가운 풍경을 목격했다. 작품 옆에 가격표가 붙어 있었다. 두 갤러리 모두.

나는 예술작품에 가격을 붙이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생각보다 그런 전시장은 흔치 않다. 그래서 반가웠다. 편의점에서 물건을 팔고 사는 것만큼 미술작품을 사고파는 것이 아직 대중적이지 않기에 나는 당당히 가격표를 붙이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여기는 사람이다.

보는 이가 그림을 사주어야 창작자들이 건강한 창작활동을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느껴야 하기 때문이다. 보는 이가 감상하는데 머무르지 말고 사는 것으로 생각과 행동을 확장하려면 가격표 붙이는 일부터 해야 한다는 것이 평소 생각이다. 아직도 많은 이들이 미술관 문턱을 넘는 것조차 어려워하는데, 그림 가격을 묻고 또 직접 사려고 생각하는 이들은 그보다 더 적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면에서 가격을 공개한 두 전시의 풍경은 조금 달랐다. 한 전시는 작품명과 설명에 가격을 보기 좋게 출력해 깔끔하게 붙여뒀다면, 또 다른 전시는 작은 스티커에 작품 가격으로 추정되는 숫자만 작은 손글씨로 견출지에 써붙여뒀다. 한 갤러리에서는 무언가 당당함과 자신감이 가득한 표정이, 다른 곳에서는 아직은 부끄럽고, 어색하고, 수줍은 얼굴이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돈 밝히는 세속적인 작가로 오해받기 싫어 작품에 가격표 붙이는 것을 어색하고 불편하게 생각하는 작가들이 많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자신의 작품에 스스로 가격을 매기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닐 거라고 갤러리 운영자들도 얘기한다. 그결과 어떤 전시에는 가격표가 붙고 어떤 전시에서는 그렇지 않은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제안하고 싶다. 모든 작가와 갤러리가 합심해 더 이상 이런저런 눈치 보지 말고 인천의 모든(공공이 여는 전시를 제외한) 전시작품 옆에 가격표를 붙이는 것은 어떨까. 그리고 당당히 얘기했으면 좋겠다. 여기 인천은 원래 그런 곳이라고.

/김성호 인천본사 문체레저부 차장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