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0701000280100012962

김윤배_-_에세이필진.jpg
김윤배 시인
정초부(1714~1789)는 정조 때의 이단전과 함께 시단을 풍미했던 노비 시인이다. 그는 경기 양평 사람이다. 성은 정(鄭 혹은 丁)씨라고 알려졌지만 이름은 분명한 초부(樵夫)다. 나무꾼이란 뜻이다. 그는 명문가인 여씨((呂氏) 집안의 노비였다. 참판을 지낸 여춘영의 노비라고도 하고 승지 여만영의 노비라고도 하지만 어떻든 여씨 집안의 노비였던 것은 분명하다.

그는 자존심이 강해서 사람들이 이름을 물어도 대답하지 않았다. 이름은 봉(鳳)이었지만 그의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은 없었다. 그의 이름은 몰라도 그의 시를 아는 사람은 많았다. 그만큼 시가 빼어났다. 그리고 그의 시를 찾아 읽는 독자가 많았던 것이다.

노비였던 그의 생김새는 몹시 고괴했다. 그러나 기록하는 사람에 따라 그를 '예스런 선비의 멋진 용모를 가졌고 수염이 아름답고 흉금이 툭 터져 구김살이 없다'는 인물평을 남긴 사람도 있다. 이런 인물평은 그의 시문에 매료되었던 사람의 글일 것이다.

명문가 여씨 집안 노비이자 나무꾼
기억력 좋아 주인의 글 다 외워버려
빼어난 詩 솜씨로 읽는 독자 많았다


정초부는 낮에는 산에 가 나무를 해서 지고 내려오고 밤에는 주인을 모시고 사랑채에서 잤다. 주인은 늘 책을 읽었다. 그는 주인이 글 읽는 소리를 듣고는 모두 외워버렸다. 경탄할만한 기억력이었다. 이런 그를 주인이 가상하게 여겨 자식들과 함께 공부하도록 했다. 그는 학업성취가 빨랐다. 특히 과거시험에 필요한 과시(科詩)를 잘 지었다. 그의 문장은 주인집 자제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다.

당대에 그에 대한 소문이 무성했다. 예컨대 주인집 자제들을 위해 과거 시험장에 들어가 대리시험을 쳐서 주인집 자제들을 급제시켰다는 소문도 그중의 하나다. 그 대가로 주인이 그를 양인으로 만들어 주었다는 것이다. 진위를 확인할 수 없는 소문이었다. 여씨 집안에서는 그를 더 이상 노비로 묶어둘 수가 없었을 것이다. 시문이 훌륭한 나무꾼으로 명성이 높은 그를 종으로 부린다면 이는 사대부 사이에서 평판이 나쁘게 날 수도 있는 것이어서 노비에서 양인으로 신분을 상승시켰을 것이다.

그는 양인이 된 후에도 나무를 해서 배와 지개를 이용해서 양평에서 용산까지 오가며 나무장사를 하는 것으로 호구지책 삼았다. 그가 남에게 고용되어 나무를 해서 팔았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는 나무꾼으로 잔뼈가 굵은 사람이었다. 잘 할 수 있는 일이 오직 나무하는 일이었다. 나무하는 일은 그의 생업이기도 하고 숲속에서의 노동은 시상을 다듬는 즐거움이기도 했을 것이다. 그는 늙어서도 나무를 해서 팔았다. 늙은 나무꾼을 노래한 시가 전해오고 있다.

주인집 자제들 대리 과거시험 쳐서
급제 시켜 양인이 됐다는 소문 무성


'시인의 남은 생애는/늙은 나무꾼 신세/지게 위에 쏟아지는/가을빛 쓸쓸하여라'. 나무꾼은 이제 늙었으며, 늙어서도 나무를 지게에 힘겹게 짊어지고 장안으로 들어오는 고단하고 신산한 삶이 서정적으로 그려져 있는 작품이다. 쓸쓸하고 투명하고 맑은 정취가 작은 그림처럼 그려진 시다.

이러한 나무꾼의 모습은 '동호(東湖)의 봄물결은/쪽빛보다 푸르러/또렷하게 보이는 건/두세 마리 해오라비!/노를 젓는 소리에/새들은 날아가고/노을진 산빛만이/강물 밑에 가득하다'에 아름답게 그려져 있다. 동호는 지금의 옥수동 주변의 한강을 이른다. 봄이어서 강물은 더욱 푸르른 데 나무를 한 배 가득 싣고 노를 저어 한강을 내려오다 해오라비를 만났을 것이다. 이미 해는 뉘엿뉘엿 기울기 시작했을 터이고 강물에는 산빛이 가득했을 것이다. 아름다운 한 폭의 그림과 같은 이 명작 한 편으로 정초부는 단번에 유명한 시인의 반열에 올랐다. 김홍도의 '도강도(渡江圖)'에 이 시가 화제(畵題)로 올라 있어 김홍도의 시로 잘못 알려졌으나 정초부의 작품이다.

그는 늘 가난했다. 구름주림을 해결하기 위해 관아를 찾아갔다. 쌀을 꾸려 했지만 관아의 호적에 그는 없었다. 빈손으로 돌아와 지은 시가 있다. '산새는 옛날부터/산사람 얼굴을 알고 있건마는/관아의 호적에는 아예/들 늙은이 이름이 빠졌구나./큰 창고에 쌓인 쌀을/한 톨도 나눠 갖기 어려워라/강가 다락에 홀로 올라 보니/저녁밥 짓는 연기 피어오르네'. 시인은 예나 지금이나 가난이 숙명이다.

/김윤배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