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매업체 이용에 부담이 큰 지역 수퍼마켓이나 영세 점포 소상공인들을 위해 조성된 중소유통도매물류센터(이하 센터)가 '공공 지원 사각지대'에 놓여 고질적인 운영난을 겪는 가운데(4월11일자 12면 보도=소상인에 단비 뿌리고… 말라가는 중소유통도매센터) 센터들이 개별적으로 배달 앱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섰지만 인건비 등이 여전한 숙제인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외 다른 지자체에선 센터에 대한 지원을 이어가고 있어 경기도 지자체들만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안산 센터는 오는 6월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배달 앱을 선보일 예정이다. 소비자가 앱을 통해 인근 수퍼마켓에서 신선식품을 주문하면 센터가 해당 물품을 대신 집까지 직접 배송해주는 시스템이다.
영세 소상공인에 대한 도매 물품 판매 수수료가 3%로 낮게 책정돼 수수료 수익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운영난에 시달리자, 별도의 수익 창출을 위한 자구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경기도 10개 센터 중 이 같은 서비스를 추진하는 것은 안산 센터가 처음이다.
경기도 "기초단체가 할 일" vs 기초단체 "돈 없다"… 핑계 대며 외면
차량 보수·시설 교체 등 수천만원 예산 편성하는 다른 지자체와 대조
다만 배달 요청이 들어오는 물품을 포장하고 각 가정으로 배달해야 하는 인력이 부족한 점은 숙제다.
장현중 센터장은 "생존을 위해 자체적으로 앱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면서도 "지금도 센터에서 근무하는 인력이 부족한데, 앱이 출시되면 주문 들어온 물건을 골라 담아 포장하고 배달해야 할 인력이 더 필요하다. 포장에 들어가는 비용도 문제다.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새 활로를 모색하려고 해도 비용 문제가 장벽이 되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지자체들이 유독 지원에 소극적이라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지원 책임을 유관기관간 서로 떠넘기기 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중소기업중앙회 자료를 보면 이 같은 센터가 경기도내 10곳을 비롯해 전국에 40여곳이 있다. 경기도 외 다른 지자체에선 직접 예산을 편성해 관내 센터를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경남 창원시는 매년 센터의 시설보수 등을 위한 예산 수천만원을 편성해 지원하고 있다. 창원지역 센터는 지원받은 예산으로 방수 공사를 진행하거나 노후 시설을 교체하는가 하면 소방관련 시설 점검 등을 실시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자가 격리에 처한 직원들에게 물품을 지원하는 등 복지 비용으로도 활용했다.
창원시 관계자는 "센터에서 필요한 내용을 시에 전달하면 내용을 확인해 예산 편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충북 청주시도 매달 센터 수익금의 0.1% 규모인 1천300만원 가량을 시가 직접 센터에 지원하고 있다. 해당 비용은 센터의 차량 유지 및 보수, 노후시설 교체 등에 쓰이고 있다.
김종하 중소기업중앙회 경기지역본부장은 "경기지역의 경우, 센터 지원 문제를 두고 유관기관간 책임 떠넘기기가 도를 넘은 실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정부 소관이 아니라 하고 경기도는 기초단체가 할 일이라고 한다. 기초단체는 돈이 없다는 핑계를 댄다"며 "껍데기만 만들고 알아서 자생하라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중소유통도매물류센터의 설립 자체가 목적이 돼선 안 된다. 중소유통업 지원은 모든 기관이 해야 하는 업무"라고 강조했다.
/서승택·윤혜경기자 taxi22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