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전국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한 안성지역 예비후보자들 대다수가 각종 전과를 갖고 있어 도덕성 검증을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역사회에 일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에 따르면 18일 현재 안성지역 선거별 예비후보로 등록한 인물은 기초단체장 7명, 광역의원 6명, 기초의원 23명 등 총 36명이다.

이들이 선관위에 등록한 전과기록을 살펴보면 총 36명의 예비후보 중 23명이 1건 이상의 전과를 갖고 있으며 총 건수는 36건이다.

기초단체장 예비후보 7명은 전원이 1건 이상 전과자였으며 범죄 내용은 음주운전을 비롯해 중과실치상, 산림법 위반, 건축법 위반,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등이다.

광역의원의 경우 6명의 예비후보 중 4명이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과 공직선거법 위반, 부정방지법 위반 등의 전과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기초의원 예비후보들의 전과 내용은 심각한 수준이다. 기초의원 가·나·다선거구에는 총 23명의 예비후보들이 선관위에 등록했는데 이들 중 12명이 총 24건의 전과를 갖고 있다.

구체적인 범죄 내용은 범인도피교사 및 사고 후 미조치를 시작으로 음주운전, 무면허운전, 폭행, 주거침입, 불법 집회, 업무방해 등으로 생계 및 생활범죄를 넘어선 수준이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에서는 여야를 떠나 예비후보자들에 대한 공천 과정에서 철저한 도덕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시민 김모(54)씨는 "지방선거에서 당선되는 정치인들은 향후 4년의 임기 동안 지역 발전을 위한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인물들인데 생계 및 생활범죄를 넘어선 수준의 전과를 가진 인물들이 태반인 사실에 충격을 먹었다"며 "시민들이 투표를 통해 비도덕적인 인물을 걸러내야 하겠지만 그 전에 여야 모든 당들이 철저한 자체 검증을 통해 당을 대표하는 후보자를 결정해야지만 민심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